Typescript(ts, tsx)를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지?Vite를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지?javascript module programming에 대해서 이해하고 있는지? import, export에 대해서 알고 있는지?pakcage manager를 사용해봤는가?
nginx 설정nginx 에서 로드벨런싱을 적용하는 법은 간단합니다. upstream 블락 을 만들어서 어던 서버로 로드벨런싱 할지 정해주면 됩니다. 즉 저희는 express-app 이라는 upstream 을 만들고 각각의 앱에 연결한 다음 proxy_pass 를 이용
typescript로 프로젝트 구현 시 console.log()출력시 인식을 못하는 경우가 있다.이때는 tsconfig.json에 compilerOptions.lib에 dom을 추가해주면 된다.tsconfig.json
PNPM, NPM 등 패키지 매니저를 통해서 빌드를 할 때 결과물 상단에 banner를 넣고 싶을 때 필요한 옵션이다.vite.config.jsdist/my-lib.cjs.js
git pull시에 이런 메세지가 뜨면서 안되는 경우가 있다.바로 메세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이렇게 입력하면 해결된다. 이 부분에 추적하고 싶은 remote branch의 name을 넣어주면 된다.
이 매크로는 블록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내에서 직접 구성 요소 옵션을 선언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3.3 이상에서만 지원됩니다.이것은 매크로입니다. 옵션은 모듈 범위에 감겨지며 내부 리터럴 상수가 아닌 로컬 변수에는 액세스할 수 없습니다.3.3 이하에서는 아래와
0.0.2 0.0.2-rc.1 0.0.2-alpha.2 신규 개발0.0.2-alpha.1 신규 개발0.0.1 tag 릴리즈 tagging0.0.1 Release0.0.1-rc.1Release Candidate편집흔히 약칭으로 RC 버전이라고 하는 것이 이것. 출시 후보
가장 처음으로 살펴볼 유틸리티 타입은 Partial 타입입니다. Partial은 부분적인 또는 일부분의 라는 뜻으로 특정 객체 타입의 모든 프로퍼티를 선택적 프로퍼티로 변환합니다. 따라서 기존 객체 타입에 정의된 프로퍼티들 중 일부분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타입입
스프링의 서비스 계층에서 DataBase의 데이터를 변경하다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롤백하기 위해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트랜잭션 어노테이션에 대해 "문제가 생기면 알아서 처리해주는구나..." 여기까지만 이해하고 그 이상으로 생각하
주석에 다 쓰여있지만, 스토어의 경우 defineStore를 통해 정의하고 첫 번째 인자로는 "고유한 이름" 그리고 두 번째 인자로는 다른 옵션들을 추가할 수 있다.일반적인 스토어 정의 명명규칙으로는 use를 앞에 사용하고 뒤에 Store를 붙이는 모양이다.useMai
초기 개발 중에는 라이브러리 수정이 빈번하게 일어난다.이때마다 리파지토리에 올리는 방식보다는 로컬에서 개발환경에서 해당라이브러리를 링크해서 쓰는게 효율적이다.라이브러리 프로젝트에 들어가서 build를 해서 dist폴더를 생성시키고 package.json가 있는 폴더에서
프로그래밍 개발을 할때 변수명이나 클래스명을 만들때 규칙을 정해서 만듭니다.혼자서 스터디로 하는 프로젝트가 아니라(혼자하더라도 습관을 들이긴 해야합니다.)다수의 사람들이 같이 일하는 프로젝트면 더 신경써가면서 해야합니다.두 단어 이상으로 변수명을 작성할때 공백은 작성이
Vuevite는 기본적으로 Vue를 지원하고 있습니다.Vue 3 SFC: @vitejs/plugin-vueVue 3 JSX: @vitejs/plugin-vue-jsx
일반적으로 composition api만을 활용 시에는 아래와 같이 defineComponent에 setup()에 return으로 템플릿을 전달하면 된다.하지만 <script setup> 방식에서는 템플릿을 그냥 return할 경우에는 오류가 발생한다.이때는 se
두 오브젝트 생성의 퍼포먼스를 콘솔로 찍어보면, 오브젝트 리터럴({}) 형태가 더 성능이 좋게 나온다. 그 이유는 constructor 함수 호출에 있다.new 키워드는 얼핏 보면, 단순히 객체를 생성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내부에 있는 constructor 함수를 호
TS > JS > Browser번거로울 것 같은데 어떤 장점이 있길래 이걸 굳이 쓰는걸까?
초기 개발 중에는 UI Component수정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다.그래서 매번 UI Component 수정 시마다 Nexus Repository에 배포를 하고 your-app-project 프로젝트에서 다시 받아서 작업하는 것이 아니라 로컬 개발환경에서 ne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