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EE 802.11

무선 LAN에 대해 IEEE 802 위원회에서 작성하는 일련의 표준 규격

ㅇ 802.11 (1997) : 최초의 무선LAN 표준
- 2.4 GHz 대역에서, 1~2 Mbps급 전송속도

ㅇ 802.11a (1999) : (WiFi 1)
- 5 GHz 대역에서, 802.11(1997)의 속도를 최대 54 Mbps까지 동작하는 확장 표준

ㅇ 802.11b (1999) : (WiFi 2)
- 2.4 GHz 대역에서, 802.11(1997)의 최대 2 Mbps에서 최대 11 Mbps까지 올린 확장 표준

ㅇ 802.11g (2003) : (WiFi 3)
- 2.4 GHz 대역에서, 802.11b(1999)를 최대 22 또는 54 Mbps까지 고속의 동작을 위한 확장 표준

ㅇ 802.11n (2009) : (WiFi 4), High Throughput (HT)
- 2.4 GHz/5 GHz 대역에서, 최대 600 MHz까지 고속 전송이 가능

ㅇ 802.11ac (2013) : (WiFi 5), Very High Throughput (VHT)
- 5 GHz 대역에서, 6 Gbps 속도 목표, 일명 기가급 와이파이
. 주파수대역 : 5 GHz, 대역폭 : 20/40/80/160 MHz, 최대 전송속도 : 6.9 Gbps

ㅇ 802.11ax (2020) : (WiFi 6), High Efficiency (HE), High Efficiency Wireless (HEW)
- 2.4 GHz/5 GHz 대역에서, 대규모 혼잡 환경에서도 높은 수율 달성

Git

연습 사이트: https://learngitbranching.js.org/?locale=ko

실습할 때 문제가 많이 발생해 끙끙거리다가 강사님께 질문하니 git 안에 git을 만들었던 것이 문제였다.
git 고수가 아니라면 꼬일 확률이 크니 이러지 말자.
github 연결할 때 git init한 다음 git clone한 게 문제였다.

CSS 선택자

CSS 선택자는 규칙이 일치하는 문서의 요소를 설명하는 CSS 규칙의 일부다. 일치하는 요소는 규칙에 지정된 스타일이 적용된다.

유형 선택자 (element name)

유형 선택자는 노드 이름을 사용해 요소를 선택한다. 즉 문서 내에서 주어진 유형의 모든 요소를 선택한다.

/* All <a> elements. */
a {
  color: red;
}

클래스 선택자

클래스 선택자는 요소의 class 특성에 기반해 요소를 선택한다.

/* All elements with class="spacious" */
.spacious {
  margin: 2em;
}

/* All <li> elements with class="spacious" */
li.spacious {
  margin: 2em;
}

/* All <li> elements with a class list that includes both "spacious" and "elegant" */
/* For example, class="elegant retro spacious" */
li.spacious.elegant {
  margin: 2em;
}

ID선택자

ID 선택자는 요소의 id 특성 값을 비교하여, 완전히 동일한 id를 가진 요소를 선택합니다.

/* id="demo" 요소 선택 */
#demo {
  border: red 2px solid;
}


참고 사이트 https://standards.ieee.org/beyond-standards/the-evolution-of-wi-fi-technology-and-standards/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no=2034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CSS/ID_selectors
profile
개발자 지망생. 일단 하고보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