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공간,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보호하는것이 주목적이다.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며 대표적으로 오라클, MySQL, Ms-SQL 등이 있다.
※ Oracle, MySQL, DB2, MS SQL Server, sybase, HSQLDB, SQLite ・・・
- 데이터의 추가/조회/변경/삭제
- 데이터의 무결성(Integrity) 유지
- 트랜잭션 관리
- 데이터의 백업 및 복원
- 데이터의 보완
- 오라클, MySQL, Ms-SQL등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다.
※ 데이터베이스의 종류에는 관계형/객체지향/계층형 등의 형태가 있는데 보통 관계형(RDMBS)을 많이 사용한다.
테이블
칼럼 이름 | 칼럼타입 | 칼럼길이 |
---|
MEMBER | VARNAME | 10 |
PASSWORD | VARNAME | 20 |
NAME | VARNAME | 80 |
- RDMBS에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장소를 테이블이라고 한다.
- 테이블의 구조와 관련된 정보를 스키마(schema)라고 한다.
- 테이블의 구조는 칼럼이름/칼럼타입/칼럼의 길이로 구성되며
- 이름은 데이터의 이름, 타입은 데이터 타입, 길이는 데이터의 저장되는 길이이다.
레코드
- 테이블의 스키마에 정의된 칼럼에 해당하는 값의 모음을 레코드라고 한다.
- 하나의 테이블에는 여러개의 레코드가 구성된다.
주요키(Primary Key)
- 테이블에 저장된 레코드를 사용하기 위해 각각의 레코드를 구별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 주요키는 하나의 테이블에 저장된 모든 레코드가 서로 다른 값을 갖는 칼럼을 의미한다. 위의 예제에서는 MEMBERID 칼럼에 여기에 해당한다.
인덱스(Index)
- 데이터의 순서를 미리 정렬해서 저장할 때 사용한다. 레코드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미리 정리된 표를 만들어 두는데 이것이 인덱스이다.
(주요키도 인덱스의 일종이다)
※ 인덱스는 중복된 값에 대한 정렬이 가능한 반면에, 주요키는 중복된 값을 가질 수 없다는 차이가 있다.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의 일반적인 순서

- 2,3번 과정은 작업을 완료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이 가능하고 JDBC 프로그래밍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의 필수 요소
-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3가지 요소가 필요하다.
- DBMS: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주는 시스템 (오라클, MySQL, MS-SQL 등)
-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저장할 공간
- DBMS 클라이언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