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의 if 조건문은 switch 문으로 바꿀 수 있다.
switch 를 사용한 비교법은 특정 변수를 다양한 상황에서 비교할 수 있게 해 준다. 코드 자체가 비교 상황을 잘 설명한다는 장점도 있다.
switch 문은 하나 이상의 case 문으로 구성된다.
default 문은 필수로 작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switch(x) {
case 'value1': // if (x === 'value1')
...
[break]
case 'value2': // if (x === 'value2')
...
[break]
default:
...
[break]
}
let a = 2 + 2;
switch (a) {
case 3:
alert( '비교하려는 값보다 작습니다.' );
break;
**case 4:
alert( '비교하려는 값과 일치합니다.' );**
break;
case 5:
alert( '비교하려는 값보다 큽니다.' );
break;
default:
alert( "어떤 값인지 파악이 되지 않습니다." );
}
위 코드의 결과 '비교하려는 값과 일치합니다.' 가 출력되고 코드가 종료된다.
일치하는 값을 찾는 순감부터 break 를 만날 때까지 코드가 실행되므로, break가 중간에 없다면 case 4 아래의 모든 코드가 실행된다.
let a = 2 + 2;
switch (a) {
case 3:
alert( '비교하려는 값보다 작습니다.' );
**case 4:
alert( '비교하려는 값과 일치합니다.' );
case 5:
alert( '비교하려는 값보다 큽니다.' );
default:
alert( "어떤 값인지 파악이 되지 않습니다." );**
}
여러 케이스에 대해 같은 코드를 실행하려는 경우 다음과 같이 묶을 수 있다.
let a = 3;
switch (a) {
case 4:
alert('계산이 맞습니다!');
break;
case 3: // (*) 두 case문을 묶음
case 5:
alert('계산이 틀립니다!');
alert("수학 수업을 다시 들어보는걸 권유 드립니다.");
break;
default:
alert('계산 결과가 이상하네요.');
}
switch 문은 일치 비교로 조건을 확인한다. 따라서 비교하려는 값과 case 문의 값, 자료형이 모두 같아야 해당 case 문이 실행된다.
let arg = prompt("값을 입력해주세요.");
switch (arg) {
case '0':
case '1':
alert( '0이나 1을 입력하셨습니다.' );
break;
case '2':
alert( '2를 입력하셨습니다.' );
break;
case 3:
alert( '이 코드는 절대 실행되지 않습니다!' );
break;
default:
alert( '알 수 없는 값을 입력하셨습니다.' );
}
3을 입력한 경우, prompt 로 입력한 숫자 3은 ‘3’ 문자열로 변환되어 반환되기 때문에 case 3 문의 3과 자료형이 달라 코드가 실행되지 않고, default 가 실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