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React Query 를 알아보자~!

HeeSung Lee·2023년 5월 30일
0
post-thumbnail

React Query?

React Query 는 어플리케이션의 비동기 데이터를 쉽게 관리하고 동기화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React 전용 라이브러리다. React Query 는 데이터의 fetching, caching, updating 과 컴포넌트 트리의 변경사항에 대한 과정을 쉽게 만들어 준다. 또한 실시간 업데이트, 페이지네이션, 오류 처리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React Query 장점

  • 캐싱을 쉽게 해준다
  • get을 한 데이터에 대하여 update를 하면 자동으로 get을 다시 수행한다.
    + 가져온 데이터로 컴포넌트를 생성하면 데이터를 get 하는 api 가 자동으로 실행됨.
  • 데이터가 오래되었다 판단되면 다시 get 해준다.
  • 페이지네이션 지원.
  • react hook 과 비슷함.

오늘은 React Query에 useQuery와 useMutation에 대해 알아보는 절차를 가져보도록 하는 절차를 가져보자!

useQuery

useQuery는 서버에서 데이터를 조회해올 때 사용하는 녀석이다. 데이터베이스에 비유하면 select 키워드 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useQuery를 사용하려면 먼저 queryKeyqueryFn에 대해 알아보고 가야한다. 가보자잇~

queryKey

queryKey란 useQuery마다 부여되는 고유 Key 값이다. queryKey는 문자열 또는 배열 형태로 사용된다. queryKey는 React Query가 query 캐싱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queryKey의 문법은 다음과 같다.

const res0 = useQuery('users',queryFn);
const res1 = useQuery(['users', 'add Id']);
const res2 = useQuery(['add Id','users']);
const res3 = useQuery(['users',{type: 'add', name: 'ID'}], queryFn); 

res0'users'라는 문자열이 queryKey로 사용되고 있다.
res1res2는 언뜻보기에 같아 보이지만 React Query에서는 queryKey할당 시 입력되는 순서도 보장해주고 있기 때문에 다른 queryKey로 인식한다.
이제 예시를 통해 이놈이 무슨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자.

import {...}

const Query = () => {
 const getUsers1 = () => {
 	const res1 = useQuery(['users'],queryFn1);
 }
 const getUsers2 = () => {
 	const res2 = useQuery(['users'],queryFn2); // queryFn2는 생략해도 좋다~!
 }
 return(
 	<>
     {getUsers1()}
     {getUsers2()}
    </>
 )
}

위 코드에서는 res1res2가 동일한 queryKey를 사용하여 서버에 있는 데이터를 조회하려고 하고있다. res1res2에 대한 요청이 있었으므로 서버에 2개의 request가 전달될 것이라 예상했지만 위 코드에서는 1개의 request만 전달된다. 왜 why? res1에서 request를 서버에 전달하게 되면 res2에서는 이미 조회한 queryKey에 대한 결과값이 존재하기에 서버에 다시 요청하지 않고 res1의 결과를 그대로 가져와서 쓴다.(굳이 비유하자면 메모이제이션 느낌쓰)
또 queryFn이 다르게 정의되어 있어도 res2res1의 결과를 그대로 받기 때문에 queryFn1이 처리된 결과가 확인이 가능하다.

queryFn

queryFn은 query Function을 통하여 promise 처리가 이루어지는 함수라고 이해하면 된다. 다시 말해 aixos를 이용하여 서버에 API 요청을 하는 코드인 것이다.
queryFn의 문법은 다음과 같다.

const res = useQuery({
  queryKey: ['users'],
  queryFn: () => axios.get('http://localhost:8080/users')
});

이제 간단한 예제를 통해 useQuery를 써보도록 하자!
useQuery는 앞서 말했듯이 서버에서 데이터를 get 할때 사용한다. useQuery의 unique Key는 고유한 값이 들어가야 하고, 호출 시 해당 키로 호출할 수 있다. Query Function은 api 사용 시 필요한 fetcher 함수가 들아가는 부분이고, Query option 은 onSuccess,onError 와 같은 옵션들이 들아가는 부분이다.

const Func = () => {
	const { isLoading, isError, data, error } = useQuery('hello', () => axios.get(''), {
		refetchOnWindowFocus: false, // 사용자가 해당 창을 재방문 했을 때 재실행 여부
		retry: 0, // 실패시 재호출 횟수
		onSuccess: (data) => {
			console.log(data)
		},
		onError: (e) => {
			console.log(e.message)
		},
	})
}

useQuery에 첫 번째 파라미터로 고유 키가 들어가고 두번째 파리미터로는 api 호출 함수가 들어간다. useQuery는 비동기적으로 작동한다. 동기적으로 작동하게 하고싶으면 다음과 같이 해보자.

const { status, data, error } = useQuery('안녕!!!', () => axios.get('zuso'), { enabled: !!check, })

useMutation

useMutation은 React Query를 이용해 서버에 데이터 변경 작업을 요청할 때 사용한다.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면 insert, update와 비슷한 친구다. useMutation을 알기 전 먼저 mutate와mutationFn를 알아봐야한다. 알아보자~

mutationFn

mutationFn은 promise 처리가 이루어지는 함수다. axios를 서서 서버에 API를 요청하는 부분이라고 알면 된다. mutationFunction의 문법은 다음과 같다.

const saveUser = useMutation({mutationFn: (user: Iuser) => axios.post('이거슨 주소다~',user)})

mutate

mutate 는 useMutation을 이용해 작성한 내용들이 실행될 수 있는 트리거 역할을 한다. useMutation을 정의한 다음 이벤트가 발생하면 mutate를 사용하면된다. 간단한 예시로 알아보자.

const [person, setPerson] = React.useState<Iperson>({
  id: 0,
  name: '',
  phone: '',
  age: 0,
})

const saveuser = useMutation((user: Iuser) => axios.post('주주줏소', user){
	onSuccess: (res) => { console.log(res) }, // try
    onError: (error) => { console.log(res) }, // catch
    onSettled: () => { console.log('끝났소') } // finally
});

const onSaveUser = () => {
  savePerson.mutate(user);
}

위 코드에서 saveuser 에서 useMutate를 정의하고 onSaveUser()에서 데이터를 저장한다.

invalidateQueries

invalidateQueriessms useQuery에서 사용되는 고유키의 유효성을 없애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고유키의 유효성을 제거하는 이유는 서버로부터 다시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서다.

const queryClient = useQueryClient()
const users = useMutation((user) => axios.post('', user), {
  onSuccess: (res) => {
    console.log(res)
	queryClient.invalidateQueries('user')
},
  onError: (err) => { console.log(err) },
  onSettled: () => { console.log('ended') },
})

위 코드에서 queryClinet에서 queiryClient 값을 가져온다. 다음으로 users에서 고유키의 유효성을 없앤다.

setQueryData

setQueryData는 기존에 queryKey에 매핑되어 있는 데이터를 새롭게 정의하여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이다. setQuery는 유효성을 제거하지 않고도 값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쓰는법 알아보자~

const users = useMutation((user) => axios.post('', user), {
  onSuccess: (res) => {
	console.log(res)
	queryClient.setQueryData('user', (data) => {
		  const res = data
       	  res.data.push(user)
      	  return res
		})
	},
	onError: (err) => { console.log(err) },
	onSettled: () => { console.log('ended') },
})
profile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꿈꾸는 고등학생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