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문과 같이, 리스트 속 요소를 순서대로 꺼내 어떠한 처리를 해줄 때 사용하는 메소드이다. 람다식을 사용해서 작성해야한다.익명 개체를 생성하는 익명 함수와 같다. 코드를 보다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다. -> 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인텔리제이에 자동 변환 기
https://dev.mysql.com/downloads/mysql/ 에 접속하여 알맞는 OS를 선택하고 MySQL Installer MSI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한다.용량이 더 큰 mysql-installer-community.msi 를 다운로드한다. 로그인
모든 서비스는 데이터를 만들어내고 저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기록되어야 한다.어떤 서비스의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 ex ) MySQL, PostgreSQL, …빠른 처리 속도가 중요 (vs 데이터 웨어하우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데이터를 구조화된 테이블의
여러 데이터의 묶음. 추상체.ListArrayListLinkedList여러 데이터의 묶음을 풀어서 하나씩 처리할 수 잇는 수단 제공next 통해 다음 데이터 조회 가능, 역으로는 불가.사용데이터의 연속. iterator와 비슷. System.in 과System.out
인터페이스 : 모든 메소드가 추상 메소드로 구성된 클래스따라 구현을 강제한다. 메소드를 구현하지 않았을 때 오류가 발생하고, (인텔리제이 기준) Alt + Enter 키로 빠른 수정을 하면 구현하지 않은 메소드가 자동으로 구현하게끔 생겨난다.위 코드처럼 Test 객체를
프로그램을 객체로 구성하는 것. 프로그램이 거대화하며 등장했다.어떻게 큰 프로그램을 만들 것인가? → 작게 객체로 나눠서 만들고 합친다는 개념이다.프로그램의 동작을 객체들에게 나눠서 수행시킨다.작은 기능을 수행하고, 객체끼리 서로 협력한다. 객체는 type 으로 구분한
Alt + Enter : 빠른 수정Ctrl + 1 : 폴더창으로 커서 이동Ctrl + N : 새 파일 생성Alt + Up / Down : 단계별 블럭 지정 (확인 필요)Ctrl + Alt + L : 코드 리포맷팅 (중요!)Shift + Ctrl + Alt + T : 리
본격적으로 클래스 구성에 대해 파헤쳐보려고 한다. 마찬가지로 당장의 과제를 처리하기에 급급했던 나머지 개념을 두루뭉술하게 알고 있던 것이 많았던 것 같다. 오류가 나면 구글링해서 고치고 내고 고치고 내고 반복하다보니...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었던 기분이 든다.클래스에
자바를 포함하여 어떤 언어든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배열 (혹은 리스트)을 사용할 때가 많다. 배열 선언과 관련 함수들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배열 💡정의 변수에 같은 타입의 여러 값을 저장하고 싶을 때 배열을 사용한다. 참조 타입으로, 각 메모리 공간에 인덱스가
JAVA는 대표적인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이때, 객체란 무엇일까? > 객체 지향은 과정을 중시하는 절차 중심의 설계가 아니고, 실체를 중시하는 설계이다. 따라서 객체 지향은 시스템의 모듈화, 캡슐화를 촉진하여 복잡화, 거대화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쉽고,
1주차는 Java 기초 개념을 복습하는 시간이었다. 자바와 파이썬 문법이 가끔 헷갈릴 때가 많아 간단히 정리해보려고 한다. ✔ 변수와 상수 정수형 : byte(1 byte), short(2 byte), int(4 byte), long(8 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