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ls명령어 및 파일 상세 정보 읽는 법

Yuri Lee·2024년 11월 9일
0

LINUX

목록 보기
6/8

다음은 리눅스에서 많이 사용되는 ls 명령어 3가지와 그 사용 예시입니다:

1. ls -l

  • 목적: 파일 및 디렉토리의 상세 정보 출력
  • 예시:
    ls -l

이 명령어는 각 파일의 권한, 소유자, 그룹, 파일 크기, 수정 날짜 등을 보여줍니다.

 **출력 예시**:
 ```bash
 total 4
 drwxr-xr-x 2 user user 4096 Nov  9 10:00 dir1
 -rw-r--r-- 1 user user   50 Nov  9 09:59 file1.txt
 -rw-r--r-- 1 user user   30 Nov  9 09:58 file2.txt
 ```

각 열의 의미

1) 파일 유형 및 권한 (drwxr-xr-x):
첫 번째 문자는 파일 유형입니다. (d는 디렉토리, -는 일반 파일)
그 다음 9개의 문자는 파일 권한을 나타냅니다.
첫 번째 3개 문자는 소유자(owner)의 권한, 그다음 3개는 그룹(group), 마지막 3개는 다른 사용자(other)의 권한입니다.
r = 읽기, w = 쓰기, x = 실행

2) 링크 수 (2):
파일 또는 디렉토리에 연결된 하드 링크의 수를 나타냅니다.

3) 소유자 (user):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자입니다.

4) 그룹 (group):
해당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속한 그룹입니다.

5) 파일 크기 (4096, 100, 200):
파일의 크기(바이트 단위)를 나타냅니다.

6) 수정 날짜 및 시간 (Nov 9 10:00):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마지막으로 수정된 날짜와 시간입니다.

7) 파일 또는 디렉토리 이름 (dir1, file1.txt, file2.txt):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이름입니다.

2. ls -a

  • 목적: 숨김 파일을 포함한 모든 파일 나열
  • 예시:
    ls -a
    출력 예시:
    .  ..  .bashrc  .profile  file1.txt  file2.txt
    • 이 명령어는 숨김 파일(파일 이름이 .으로 시작하는 파일)을 포함하여 모든 파일을 나열합니다. 예를 들어 .bashrc, .profile 등은 숨김 파일입니다.

3. ls -lh

  • 목적: 파일 크기를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
  • 예시:
    ls -lh
    출력 예시:
    total 12K
    drwxr-xr-x 2 user user 4.0K Nov  9 10:00 dir1
    -rw-r--r-- 1 user user  50K Nov  9 09:59 file1.txt
    -rw-r--r-- 1 user user  30K Nov  9 09:58 file2.txt
    • -h 옵션을 추가하면 파일 크기를 킬로바이트(KB), 메가바이트(MB) 등의 단위로 쉽게 읽을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합니다.

이 세 가지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파일을 확인할 때 매우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
유리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