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_2023.06.20

이종현·2023년 6월 20일
0

Today_I_Learned

목록 보기
51/145
post-thumbnail

Today 요약

  1. 멘토링
  2. 블로그 글쓰기

1. What I did?

1. 1 멘토링

개인적인 사정으로 잠시 홀딩했던 멘토링을 오늘 다시 시작했다. 사실 홀딩한 기간 동안의 아쉬움보다 다시 멘토님과 멘토링을 시작한다는 부분에 대한 설렘, 기대, 반가움이 더욱 컸던 것 같다. 나름 다시 멘토링을 시작할 때 어떻게 진행했으면 좋겠는지 나름대로의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그 동안 내가 어떻게 혼자 공부했는지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나름대로 내 목표도 공유하면서 최대한 목표를 도달하기 위해 가장 적절한 방법을 같이 찾아나갈 생각이다.

그래서 오늘 멘토링은 그동안의 회고와 내가 그동안 궁금했던 질문들, 그리고 앞으로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나아가면 좋을지 이야기하는 걸로 마무리했다. 궁금한 게 너무 많아 시간이 부족했지만 조급함을 내려놓고 차차 하나씩 물어보면서 해결해 나가도록 하자.

1. 2 블로그 글쓰기(feat. 원티드 프리 온보딩 사전과제)

이번에 온보딩 사전과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그냥 무턱대로 구현만 하지 말고 중간 중간에 기록하면서 구현해보자고 마음먹었기 때문에 노션에 기록하면서 진행했었다. 그래서 오늘 글로 옮기는 게 생각보다는 수월했다. 하지만 아쉬운 부분은 아무래도 마지막으로 갈 수록 내용이 빈약해지는 게 아쉬웠다. 사전과제 제출 기한이 있어서 어쩔 수 없이 뒤에 부분은 빨리빨리 넘어간 부분도 있었다. 다음 번에는 무언가를 할 때 마감기한이 정해져 있는 게 아니라면 절대 조급하게 생각하지 말고 내가 어떤 식으로 공부했는지를 꼭 기록하자. 그게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든 아니면 개념하나를 공부하든 말이다.

많은 사람들이 그 부분이 잘 안된다고 하고 가장 후회하는 부분이라고 말하는 것 같다. 그리고 멘토님도 사실 뭔가 엄청나게 화려한 프로젝트보다는 문제해결 능력이 중요하다고 늘상 이야기해주고 있기 때문에 나도 뭔가를 많이 하려고 하기보다는 내가 어떻게 공부하는지를 기록하고 그걸 멘토님한테 점검받고 어떤 방향으로 공부하면 좋을지를 계속 피드백 받아보려고 한다.

그렇게 하다보면 블로그에 글을 안 쓰게 되는 문제도 해결되고 한 가지의 개념이나 문제에 대해 깊게 생각하는 습관을 들여나가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회고(Retrospective)

5F

💡 5F (전체 회고)

  • Fact (사실: 무슨 일이 있었나?)
    • 멘토링을 다시 시작했다. 일주일 전부터 공부시간이 조금씩 채워지는 부분도 있었고 오늘 특히 근래에 공부했던 것 중에 가장 집중이 잘 되고 시간도 충분히 활용한 것 같다.
  • Feeling (느낌: 무슨 느낌이 들었나?)
    • 아무래도 멘토링을 하기 전보다는 마음가짐이 조금 달라진 걸 느낄 수 있었다. 누군가한테 내가 공부한 걸 이야기하고 확인받는다는 것, 그리고 확인받는 사람이 한 분야에서 전문가이고 제대로 하지 않으면 좋은 피드백을 받을 수 없다는 걸 알기 때문에 확실히 좀 더 신경쓰게 되는 것 같다.
  • Finding (배운 점: 어떤 인사이트를 얻었나?)
    • 인사이트까지는 아니지만 적절한 목표 설정의 중요성을 이번에 느낀 것 같고 덩달아 멘토링의 중요성도 함께 느꼈다.
  • Future action (향후 행동: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까?)
    • 같이 공부하는 사람들끼리 멘토님한테 피드백을 받을 때 집중하고 몰입할 수 있는 것처럼 평소에 몰입할 수 있게 서로 피드백을 주거나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없을까? 멘토님처럼 적절한 피드백을 주지 못할 수도 있지만 누군가한테 내가 공부한 걸 이야기 해야되고 그러기 위해서 내 머릿속에서 한 번 더 정리하려고 하다보면 메타인지가 올라가지 않을까?
  • Feedback (피드백: 앞서 정한 향후 행동을 실천해본 뒤, 이에 대해 어떤 피드백을 받았나?)
    • 현재 나의 메타인지는 어느 정도 수준이고 앞으로 메타인지를 올리기 위해서 기록하는 습관을 들이고 내가 어떤 코드를 작성하든지 왜 그런 코드를 작성하는지 기준을 확실하게 가지고 코드를 작성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즉, 그냥 남이 썼길래 따라 썼어요가 아니라 나는 이런 저런 이유 때문에 이렇게 했어요가 되야 한다.
profile
데이터리터러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