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요약

  1. 평일 회고
  2. Storybook, Figma
  3. jest, TDD, Firebase
  4. webpack

1. What I did?

1. 1 평일 회고 작성하기

당분간은 회고를 몰아서 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에 월 ~ 금요일에 해당하는 회고를 오늘 작성하고 있다.

2. What I Learned?

2.1 Jest, TDD, Firebase

FE 개발자가 사용하는 Jest, Firebase 그리고 주변에 같이 공부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FE 개발자는 TDD가 과연 필요한가?에 대해서 부정적인 의견이 많다. 이번에 한 달 동안은 멘토님이 전체적으로 다 한 번씩은 해봤으면 하는 것 같아서 대충만 이해하고 넘어가보려고 했다.

그래서 Jest의 경우 공식문서의 Getting Started 부분을 읽어봤고, 기존에 이해했던 테스트코드는 프로젝트를 배포후에 지속적으로 유지보수 해야할 때 좀 더 효율적으로 유지보수를 할 수 있게 특정 부분에 변경사항이 생겨 오류가 발생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테스트 코드라는 정도로 이해하고 있었고, Jest의 공식문서를 참고해보니, Jest는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로서 그런 테스트 코드를 좀 더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다양한 API가 있다. 일단은 그 정도로 이해하고 넘어갔다.

그리고 TDD의 경우는 인프런 강의를 하나 사서 공부해보려고 했는데, 강의 자체가 MongoDB를 활용해서 하는데 Mongoose 설정 자체에서 막혀서 일단 보류 중이다.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해서 진행하는 프로젝트란 무엇일지 궁금했는데, 일단은 이 정도에서 넘어가고 나중에 다시 시도해보려고 한다.

그리고 Firebase도 강의를 참고하고 공식문서도 참고하면서 공부했는데, 아직 전부 공부해보지는 못했고, 서버와 연결해서 회원가입하고 로그인해서 그 정보를 Firebase 서버?에 등록까지 해봤지만 로그아웃하는 부분에서 막히고 있다. 이 또한 나중에 다시 짚어보기로 하고 일단은 여기서 마무리를 했다.

이렇게 이번 한달 동안은 내가 앞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어떤 부분을 찾아보면 좋을지, 이때는 이런 기술을 사용하면 좋을것 같은데하고 생각을 떠올릴 수 있을 정도만 공부하고 알아보는 정도로 마무리하려고 한다.

2.2 Storybook, Figma

스토리북이나 피그마는 아직 자세히 알아보지는 못했다. 하지만 일단은 피그마와 스토리북은 서로 연동이 가능하다. 피그마는 디자인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지만 스토리북도 어느 정도는 UI와 관련이 있으니 디자인과 관련이 있다고도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컴포넌트 단위로 관리가 가능하고 리액트와도 연동이 되어 코드를 볼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인 것 같다.

아직 실제로 사용할 일이 없기 때문에 어느 정도 공식문서 참고해서 알아보고 강의도 보고 하다가 중단했다. 나중에 필요할 때 바로 공부해보는 걸로 하자.

2.3 webpack

webpack은 월요일날 최종적으로 마무리를 했고.. 예전에 프로젝트 진행할때는 찾아보면서 적용하고 끝냈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webpack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해주는 강의와 공식문서를 참고해서 다시 한 번 공부해보니 webpack에 대한 이해도와 익숙함이 한층 더 높아졌다.

일단은 webpack도 이 정도로 마무리하고 앞으로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필요할 때 그때 그때 찾아보면서 활용하도록 하자. 그리고 주말에 시간나면 추가적으로 다시 한 번 정리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회고(Retrospective)

💡 5F (전체 회고)

  • Fact (사실: 무슨 일이 있었나?)
    • 평균적으로 매일 5시간 남짓 공부했던 것 같다. 가족들이 아프는 등 특이사항이 조금 있어서 생각보다 집중력을 유지하지 못했다.
    • 유튜브를 정해진 시간에 보지 않고 아무때나 보는 등.. 시간 관리로 미흡했던 것 같다.
  • Feeling (느낌: 무슨 느낌이 들었나?)
    • 뭔가 제대로 된 환경설정을 다시 해야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 Finding (배운 점: 어떤 인사이트를 얻었나?)
    • 의지만으로는 절대 원하는 목표에 도달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제대로 된 환경설정은 그만큼 중요하다.
  • Future action (향후 행동: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까?)
    • 딴짓을 방지할 수 있는 환경설정에 대해 고민해보자.
  • Feedback (피드백: 앞서 정한 향후 행동을 실천해본 뒤, 이에 대해 어떤 피드백을 받았나?)
profile
데이터리터러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0개의 댓글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