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camp 오프라인 행사

일정

09:40 ~ 10:00참가자 확인 및 등록
10:00 ~ 10:30이벤트 오프닝 및 진행 안내 및 멘토 / 이벤트 오거나이저 소개
10:30 ~ 11:00임원균님 세션 - 직장 생활을 시작해 갈 때 알아가면 좋은 것들, About AB180
11:00 ~ 12:00팀별 프로젝트 마무리 작업 및 발표 준비
12:00 ~ 13:00점심시간 (개인 혹은 팀별로 자유롭게 식사)
13:00 ~ 14:50현직 개발자 선배/멘토와의 네트워킹 및 커리어 상담
14:50 ~ 15:00쉬는 시간
15:00 ~ 17:30팀별 발표 진행 및 멘토 피드백 공유
17:30 ~ 17:40마무리 및 향후 이벤트 방향에 대한 질문 답변

직장 생활을 시작해 갈 떄 알아가면 좋은 것들

커뮤니케이션

선제적 대응

  • 누군가 시키기 전에 뭔가 하지 않으면 자유도가 떨어진다.
  • 먼저 스스로 작업해보기
    • 시킨 일을 했다가 틀리면 한소리, 시키지 않은 것을 했다가 의논하자고 하면 '이런 부분은 고려해봐야될 것 같은데'

선제적 대응을 잘하기 위한 질문

  • 이 질문을 왜?
    • 일을 해야하는데 왜 하는지 모른다면 반드시 질문하기
    • 목적을 이해하고 일을 하는 것과 모르고 하는 것은 다르다
  • 질문하기 전에 답을 예측하자
  • 일을 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질문이 무엇인지
    • 무엇부터 물어봐야 하는지
    • 어떤 질문을 생략할 수 있는지
    • 이러한 패턴이 쌓이면 질문에 대한 답을 미리 유추하는 것도 가능하다

답변하는 법

  • 질문에 답을 하자
    • 질문에는 미루지 않고 답하기
      답을 할 수 없다면 확인하고 답해주겠다고 말한다
  • answer first : 배경보다 답변을 먼저(두괄식)

결과지향태도

  • 일이 있을 때 미리 관계자들과 결과물기대수준에 대해서 합의하기
    • 대체적인 모습과 기대 수준을 합의한다
  • 일이 되도록 필요한 지원 요청하기
    • 제가 무엇을 하는데 이 부분에 어떻게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 도움이 필요할 것 같아요 등
    • 타 부서가 협조를 안해줘서.. 등등 남탓하지 않기

사전 커뮤니케이션

  • 조기경보
    • 일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장애요인을 제거하는 편에 가깝다
    • 문제가 발생하면 혼날까봐 감추지 말고 다함께 고민해보기
  • 사전리뷰
    • 기대 수준을 맞추고 기한을 정해서 일을 한다
    • 기한을 최종 산출물이 나와야하는 시간이라 생각하고 중간점검 받기
    • 사전리뷰를 받으면 아군을 한 명 얻는 것과 같다
  • 다양한 자원 활용하기
    • 공식 채널만 이용하지 말고 비공식 채널도 이용해보자

    출처
    사랑받는 주니어가 됩시다. 시리즈의 일부

인터뷰 과정

  • 2, 3학년은 많은 경험 쌓기, internal factor(개발) 위주로, 나는 무엇을 했는지
  • 4학년은 external factor(커뮤니케이션) 위주, 프로젝트에서 어떤 것들을 고민했고, 어떤 부분에 기여를 했는지, 얻은 점은 무엇인지 등을 생각해보기

성장 가능성을 어떻게 평가, 측정하는지

  • 과거의 모습으로부터 평가
  • 과거의 생각 패턴 등이 중요
  • 릴리즈 해봤나? -> 등록을 해서 누군가가 썼다면 장애가 발생, 장애를 어떻게 리커버리하고 어떻게 해결을 했는지 질문하고자 함

회사의 커뮤니티에 좋은 문화, 좋지 않은 문화가 있다. 어떻게 헤쳐나갈 것인가?

  • 나를 믿어주는 상사 한 분 붙잡기

현직 개발자 선배/멘토와의 네트워킹 및 커리어 상담

  • 프론트 멘토님과의 멘토링

나의 궁금증

프론트와 백엔드 협업 과정

  • 보통은 높은 분들 사이에서 결정..?

스타트업만의 장점은 무엇인가

  • 팀원이 많지 않다보니 모두 친하게 지낸다
  • 자신의 의견을 내기 쉽다 (결재를 받아야 할 인원이 적어 의견이 쉽게 수용된다)
  • 이렇게 되면 내가 기여하는 부분이 많아지게되고 그만큼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애정이 생기게 된다

직접 부딫혀가며(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등) 공부를 하는 스타일인데 이런 경우 모르는 개념이 많이 생기는 것 같다. 어떤 방법을 추천하는지?

멘토님의 경우도 관심있는 언어가 있을 때 책을 피고 공부하는 것이 아닌, 직접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것을 만들거나 클론코딩을 하며 언어에 대해 배우게 되었다고 한다.
나 또한 이런 식으로 공부를 하는데 동아리 면접을 보며 개념을 깊게 공부하지 않았다고 느꼈다는 점에 관해 말했다.
멘토 분도 그 부분에 대해 인정하지만 결과론적으로 봤을 때 직접 코드를 짜며 무언가를 만들어보는게 실무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그렇지만 대기업에 들어가는 것이 목적이라면 개념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이 좋다.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싶은데 팀원들을 어디서 구해야하는지?

  • 이렇게 질문하기 전에 구체적으로 어떤 프로젝트를 몇달동안, 어느정도 팀원과, 몇명의 팀원과 함께하고 싶은지 질문해라 -> 면접이나 코딩테스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면접관이 질문을 했을 떄 그 질문이 모호하다고 생각한다면 반문하기. 너무 애매한 질문이다. 어떠한 부분에서 어떤 것을 원하는 것인지 묻고싶다. 라고 말하기
  • 3달 안에 배포까지 해보고싶다.
  • 현실적으로 3달 안에 배포까지 하기 위해서는 실력 있는 개발자들이 필요하다
  • 실력 있는 개발자를 구하기 위해 에타에서 구할 수도 있지만 보통은 동아리에서 구하는 것이 좋다
  • 멘토님 왈 동아리 기술면접은 물어봐도 그렇게 깊은 부분까지 물어보지 않기 때문에 그 정도는 괜찮다

추가적인 팁

  • 자신이 성장할 수 있는 인재라는 것을 보이기 위해 기술 블로그는 매우 중요하다. 과거부터 꾸준히 문제 상황과 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기술 블로그에 쓴다면 면접관들은 매우 좋게 평가한다
  • 이러한 점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배포까지 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 배포를 추천하는 이유는 결국 배포는 다른 사람들이 사용한다는 것이고 다른 사람들이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무조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 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까지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의미가 있는 과정이라고 생각
  • 이러한 과정들을 기술 블로그에 써 둔다면 나중에 뛰어나지 않더라도 충분히 성장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어필할 수 있다
  • 질문은 구체적으로, 명료하게, 코테나 면접에서 질문에 답을 할 때는 애매하다. 라는 말과 함께 정확하게 원하는게 무엇인지 물어볼 줄 아는 사고를 기르자

팀별 발표 진행 및 멘토 피드백 공유

발표를 하며

  • Introduction
  • 프로젝트 진행
  • After Offline-day

이러한 목차로 진행하였다. 우선 웹 구현 영상을 보여준 후 간단하게 프로젝트를 어떻게 진행해 왔는지, 어떤 기술 스택을 사용했는지, 향후 계획이 어떻게 되는지 등을 발표하였다. 제한된 시간 안에 끝내야했기 때문에 1달이라는 시간동안 겪었던 문제들이나 해결 방법을 적기에는 힘들었기 때문에 느낀 점 위주로 발표를 한 점이 아쉬웠다. 그리고 오프라인데이 때 까지 프로젝트를 완성시키지 못한 점도 아쉬웠다. 한 달 안에 완벽하게 구현하여 발표를 하기에는 아직 실력이 많이 부족하다고 느꼈다. 그래도 한 달 동안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어서 좋았고, devcamp를 시작하기 전보다는 조금 더 성장했다고 느껴져서 좋았던 것 같다. 프로젝트를 이대로 마무리 하기에는 아쉬워서 팀원들과 끝까지 마무리 하기로 하였다. 이 프로젝트를 제대로 마무리 하여 학생회 측과 얘기해 이 프로젝트의 기획 의도에 맞게 쓰일 수 있으면 좋겠다. 이 분야에서 뛰어난 분들을 만나 이렇게 질문하고 발표를 할 수 있는 기회는 흔치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정말 좋은 경험을 한 것 같다. Devcamp를 하며 멘토님들에게 도움이 되는 부분이 많지 않을텐데 그러한 부분을 알면서도 도움을 주신 분들과 부족한 저와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해주신 팀원분들 모두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profile
부딪히며 성장하는 예비개발자

0개의 댓글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