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개 이상의 항의 합으로 이루어진 식을 다항식이라고 합니다. 다항식을 계산할 때는 동류항끼리 계산해 정리합니다. 덧셈으로 이루어진 다항식 polynomial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동류항끼리 더한 결괏값을 문자열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같은 식이라면 가장 짧은 수식을 return 합니다.
polynomial에 있는 수 < 100polynomial에 변수는 'x'만 존재합니다.polynomial은 0부터 9까지의 정수, 공백, ‘x’, ‘+'로 이루어져 있습니다.polynomial에는 일차 항과 상수항만 존재합니다.polynomial의 길이 < 50| polynomial | result |
|---|---|
| "3x + 7 + x" | "4x + 7" |
| "x + x + x" | "3x" |
function solution(polynomial) {
var answer = '';
let xNum = 0;
let num =0;
if (polynomial.includes(" + ")){
polyArr = polynomial.split(" + ");
} else {
polyArr = polynomial.split(" ");
}
polyArr.forEach((pNum) => {
if (pNum.includes("x")){
pxArr = pNum.split("x");
if (pxArr[0] === '') {
xNum += 1
} else {
xNum += Number(pxArr[0])
}
} //x값 handling
if (!pNum.includes("x")) {
num += Number(pNum); //정수값 handling
}
});
if (xNum !== 0 && num !== 0) {
if (xNum === 1) {
answer += 'x' + ' + ' + String(num)
} else {
answer += String(xNum) + 'x' + ' + ' + String(num)
}
}
else if(xNum !== 0 && num === 0) {
xNum === 1 ? answer += 'x' : answer += String(xNum) + 'x'
}
else if (xNum === 0 && num !== 0) {
answer += String(num)
}
else {
answer = '0'
}
return answer;
}
난이도가 어려운 문제라기 보다는.. 조건을 다양한 방면으로 따져봐야해서 까다로웠던 문제였다.
입력 변수로 들어오는 polynomial 다항식의 형태에 대해서 따져야 한다.
다항식 또는 단항식(x)이 들어왔을때의 케이스들을 따져야 한다.
만약 '+' 가 포함된 다항식 형태로 들어왔을때는, split(" + ") 해줘야한다.
단항식이 들어왔을때는 공백 split을 해주면 된다.
xNum 값이 1일때 계수 생략하는 부분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