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구현을 하려면 api문서를 읽을 줄 알아야 한다.
즉, 내가 api문서를 읽으면서 생각한 것은,
api문서에 json형식의 파일을 보내면서 file도 전부 보내는 줄 알았더니,
payload따로
file따로
즉, payload에 json정보를 입력해서 payload를 token값을 포함하여 보내고,
이후에 수정기능으로 file업로드를 하는 것이다.
여기서 의문
내가 크롤러로 긁어올 때 이전 기능에서는 아얘 html태그로 긁어왔었는데
그래서 txt파일에 저장했었음. 당시에는 json도 html도 전혀 모를때라
(왜냐하면 사이트에서 강조했던 style태그를 그대로 사용하고 싶어서)
변경이 필요할 것 같다.
즉 여기서 필요한 공부는, api 문서를 잘 읽는 방법,
get,post 기능 차이를 이해하기
정도가 아닐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