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쪽에서 렌더링 준비를 끝마친 상태로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방식 SSR에서 서버는 HTML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로 보낸 다음 페이지를 렌더링합니다. 이 접근 방식은 일반적으로 서버에서 생성된 HTML이 검색 엔진에 의해 인덱싱될 수 있으므로 보다 S
현재 필자의 회사에서 만든 서비스들을 빌드해 이용기관 서버에 원격으로 붙어 배포하던 중 궁금증이 생겨 이 포스트를 작성합니다.이용기관의 서버에 원격접속을 통해 서버를 배포하다보면어떤 서비스는 service.bat 를 이용해 서비스 등록 후 tomcat.exe 파일로 실
필자의 현재 회사에서 담당하고 있는 서비스들의 SSL 인증서를 갱신하며 포트포워딩 및 HTTP, HTTPS 연결에 겪었던 어려움 들을 정리하고 기록하려 합니다.http://www.google.com:80브라우저에서 위와 같은 주소를 접속하면 어떻게 될까요?아마
현재 필자가 회사에서 담당하고 있는 서비스의 테스트서버를 올리면서 겪은 상황들을 정리해보려합니다.클라우드에 인스턴스 생성이 완료된 직후 부터 시작하도록 할텐데요.(다시한번 단계들을 따라가며 정리하는 방향으로...)여러분들께도 많은 도움이 되길!인스턴스 생성 후 필자에게
컴퓨터는 텍스트를 처리할 때 문자 집합(Character Set)과 문자 인코딩/디코딩(Character Encoding/Decoding)이라는 두 가지 개념을 사용합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두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사람이 사용하는 문자를 컴퓨터가 이해하는 기호로
필자가 맡고 있는 서비스에서 이슈가 발생했는데 어떤 이슈이고 어떻게 대응했는지 포스트로 남겨보려합니다.말그대롭니다...컴퓨터에서는 서버와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만 모바일기기(IOS) 에서는 오류가 내려오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왜 그런걸까요?서버와 모바일 기기간의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며 시큐리티 에서 로그인 정보를 받는 부분(POST /login) 에 계속 FromData 가 아닌 JSON 으로 보내며 날린 시간을 되짚어보며 이 포스트를 작성합니다.클라이언트와 서버와 통신을 할 때에는 어떻게 데이터를 주고 받을 지 약속된 형식들
사내에서 공공 API 를 활용한 기능을 구현할 일 이 생겨 공공 API 활용에 대해 정리하고 넘어가보고자 포스트를 작성합니다.공휴일을 제외한 5영업일에 스케쥴링을 돌릴계획인데 크론식이나, 어노테이션으로는 공휴인지/아닌지 판별이 어려워공휴일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공공 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