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에서는 '작업관리자' 내에서 CPU 스펙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코어 : 칩이 보유하고 있는 CPU 코어의 총합
논리 프로세서 : 하이퍼쓰레딩을 포함하여 활용 가능한 쓰레드 총합
그렇다면 리눅스의 경우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아래를 통해 물리적 칩은 1개임을 알 수 있습니다.
[root@lenovo1 ~]# cat /proc/cpuinfo | grep 'physical id' | sort | uniq | wc -l
1
아래를 통해 코어의 개수는 14개임을 알 수 있습니다.
cf) 만약 위에서 물리적 칩의 개수가 2인 경우, 아래의 코어의 개수가 14로 나온다면 각각이 14코어를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로 실제로 코어 개수의 총합은 48개가 됩니다.
[root@lenovo1 ~]# cat /proc/cpuinfo | grep 'cpu cores' | sort | uniq
cpu cores : 14
코어의 개수는 14이지만, 각 코어에 하이퍼쓰레딩이 enable되어 있는 경우, 코어 수와 쓰레드 수가 다를 수 있습니다. 아래의 쓰레드 개수는 28이므로 하이퍼쓰레딩이 enable 되어있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root@lenovo1 ~]# cat /proc/cpuinfo | grep -c processor
28
✔ Linux 파이프라인 옵션 체크
- sort는 이 출력된 줄들을 정렬합니다.
- uniq는 정렬된 줄들 중 중복된 것을 제거합니다.
- wc -l은 최종적으로 남은 줄의 개수를 셉니다. 이는 시스템에 있는 물리적 CPU의 수와 같습니
wc -l
'wc' 명령어는 리눅스와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 파일의 단어, 줄, 문자, 바이트 개수를 세는 데 사용됩니다. wc는 "word count"의 약자입니다. wc 명령어는 다양한 옵션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중 -l 옵션은 줄(line) 수를 세는 데 사용됩니다.
wc -l [파일명]
이 명령어는 지정된 파일의 줄 수를 출력합니다. 만약 파일명을 지정하지 않으면, 표준 입력(STDIN)에서 데이터를 읽어 줄 수를 셉니다.
- 파일의 줄 수 세기
wc -l filename.txt
이 명령어는 filename.txt 파일의 줄 수를 출력합니다.
[root@lenovo1 ~]# wc -l anaconda-ks.cfg 72 anaconda-ks.cf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