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디] 체육복

yejichoi·2023년 4월 7일
0

알고리즘 스터디

목록 보기
44/153
post-thumbnail

체육복

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전체 학생의 수 n,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reser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전체 학생의 수는 2명 이상 30명 이하입니다.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만 다른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을 수 있습니다. 이때 이 학생은 체육복을 하나만 도난당했다고 가정하며, 남은 체육복이 하나이기에 다른 학생에게는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습니다.

입출력 예

nlostreservereturn
5[2,4][1,3,5]5
5[2,4][3]4
3[3][1]2

입출력 예 설명

예제 #1
1번 학생이 2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고,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이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학생 5명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예제 #2
3번 학생이 2번 학생이나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학생 4명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 나의 풀이

  1. 나의 접근법은 lost의 원소가 reverse에 e-1. e+1(앞,뒤 숫자)로 있으면 answer++

  2. lost 원소 === reserve 원소면 그냥 answer 반환(똑같음)

  3. lost의 원소에 e-1,e+1로 해줬을 때 겹친 원소가 있을 때 answer-- 해줌

3번이 해결이 안되서 문제 마무리를 못함 🥲

function solution(n, lost, reserve) {
    var answer = 0;
    // 1. 1번이 2번 빌려주고 3번이 4번 빌려주고 -> 5명
    // 2. 3번이 2번 or 4번 -> 4명(1,2,3,5 or 1,2,4,5)
    // 3. 못빌려줌 -> 2명(1,2번)
  
  let student = n - lost.length;

  let list = []
 
  lost.forEach((e) =>{
    
    if(reserve.includes(e -1) || reserve.includes(e+1) ){
     // if(list.includes(e-1) ===false || list.includes(e+1) === false){
       list.push(e-1,e+1)
       answer++
      
      for(let i = 0 ; i < list.length; i++){
       
        if(e-1 !== list[i] || e+1 !== list[i]){
         
           
         
          console.log(answer)
        }
      }
    
      // 만약 list 에 겹치는 원소가 있다면 answer--
     // console.log(list)
      //if()// e들을 더한 값의 중간이 reserve에 
    
  //    }
     // console.log(answer)
 }
    else if(e === reserve.includes(e)){
        answer    
  }
  })
  
  // answer은 없어졌는데 여벌로 채워진 체육복
  // student는 전체 학생 수 - lost.length 즉, 안잃어버린 애들
   return answer + student 


}

🌿 정답 풀이

function solution(n, lost, reserve) {
    var answer = n-lost.length;
    // 처음 가능한 학생수 = n - lost.length
    // lost 배열 앞뒤의 값을 reserve에 포함되어있는지를 확인 ->
  //해당값을 reserve에서 뺌 + answer++
    // 왜 정렬을 해줘야 하지? - [4,2], [3,5]와 같은 케이스 때문
    
    let realLost=lost.filter((l)=>!reserve.includes(l));
  // 실제로 잃어버려서 빌려야만 하는 수 
    let realReserve=reserve.filter((r)=>!lost.includes(r));
  // 여벌이 있지만 실제로 잃어버린진 않아 빌려줄 수 있는 수 
  console.log(realLost,realReserve)
    answer+=lost.length-realLost.length;
    //answer = 잃어버린 수 - 빌려야만 하는 수 
    realLost.sort((a,b)=>a-b);
    
    realLost.forEach((l)=>{
        if(realReserve.length===0){ //여벌이 없다면
            return;
        }
        
        if(realReserve.includes(l-1)){
            realReserve=realReserve.filter((r)=>r!==l-1);
          // 같지 않아서 실제로 빌려줄 수 있다면
            answer++;
        }
        else if(realReserve.includes(l+1)){
            realReserve=realReserve.filter((r)=>r!==l+1);
           // 같지 않아서 실제로 빌려줄 수 있다면
            answer++;
        }
        
    })
    return answer;
}

def solution(n, lost, reserve):
    answer = 0
    check = [0] * n
    # list1과 list2의 교집합 구하기
    intersection = list(set(lost) & set(reserve))
    # list2에서 교집합에 해당하는 값 제거 (중복값 제거)
    reserve = [x for x in reserve 
    if x not in intersection]
    lost = [x for x in lost if x not in intersection]
    lost.sort()
    reserve.sort()
   
    
    for idx in reserve:
        check[idx-1] = 2
    print("여분 가지고 있는 애들",check)
    
    
    for idx in range(len(check)):
        if idx+1 not in lost and check[idx] == 0:
            check[idx] = 1
    print("로스트에 없는 애들 1로 업데이트",check)
    #check에 0이 있고 그 인덱스 +1이 lost의 요소와 같고 
    
    for i in range(len(check)):
        print(i,check[i])
    for idx in lost: # 앞번호가 빌려주기 
        if idx -2 >= 0 and check[idx-1] ==0 
        and check[idx-2] ==2: #idx 범위 제한  
            check[idx-1] = 1
            check[idx-2] =1
        elif idx <= len(check)-1 
        and check[idx-1] ==0  #뒷번호가 빌려주기 
        and check[idx] ==2: 
            check[idx-1] = 1
            check[idx] =1
    return check.count(1) + check.count(2)

TIL

🍀 리스트의 교집합 제거

2개의 리스트에 공통으로 들어있는 요소 제거

list1 = [1, 2, 3, 4, 5]
list2 = [3, 4, 5, 6, 7]

# list1과 list2의 교집합 구하기
intersection = list(set(list1) & set(list2))

# list1에서 교집합에 해당하는 값 제거
list1 = [x for x in list1 if x not in intersection]

# list2에서 교집합에 해당하는 값 제거
list2 = [x for x in list2 if x not in intersection]

print(list1)  # Output: [1, 2]
print(list2)  # Output: [6, 7]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