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

yejichoi·2023년 2월 3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3/4
post-thumbnail

물리 계층

  • OSI 모델의 최하위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연결을 하고 전기 신호의 변환 및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
  •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전송하는 일

전기 신호

  • 아날로그 신호 : 전화 회선이나 라디오 방송에 사용
  • 디지털 신호

랜 카드

컴퓨터의 네트워크 연결 및 데이터 전송을 담당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 랜 케이블

📍UTP 케이블 : Unshielded Twist Pair

  • 실드로 보호되어 있지 않아 노이즈의 영향을 쉽게 받음

📍STP 케이블 : Shielded Twist Pair

  • 실드로 보호되어 있어 노이즈의 영향을 매우 적게 받음

랜 케이블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케이블

다이렉트 케이블

구리 선 여덟 개를 같은 순서로 커넥터에 연결한 케이블

크로스 케이블

구리 선 여덟 개 중 한쪽 커넥터의 1,2번에 연결되는 구리 선을 다른 쪽 커넥터의 3, 6번에 연결한 케이블

⚡️ 랜 케이블의 양쪽 끝에는 RJ-45라는 커넥터가 있음
⚡️ 다이렉트 케이블, 크로스 케이블 모두 실제 1,2,3,6번 케이블만 사용


네트워크 장비

리피터

전기 신호를 정형하고 증폭하는 기능
최근 사용x

허브(= 리피터 허브)

랜을 구성할 때 한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에 있는 장비들을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하는 장치
전기 신호를 정형하고 증폭하는 기능
⚡️ 리피터는 일대일 통신만 가능하지만 허브는 포트를 여러 개 가지고 있어서 컴퓨터 여러 대와도 통신 가능

  • 리피터와 허브는 받은 데이터를 보내는 대상뿐만 아니라 모든 포트에 전송
  • 허브는 스스로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더미 허브 라고 불림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