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구글 심사 정책이 강화가 된 것 인지, google play console 앱 심사 거절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특히 요즘 커뮤니티에서도 UGC관련 심사 거절이 많아진 것으로 파악이 되는데
구글에서 거절 사유도 명확하게 알려주지 않아서 골치가 아픕니다.
구글에서 거절 사유로 보내준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 정책 관련 정보 만으로는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구글 측에 문의를 넣었습니다. 구글 답변 내용 중 일부분을 가지고 왔습니다.
검토 과정에서 앱이 사용자 제작 콘텐츠(UGC) 정책을 준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불쾌감을 주는 UGC를 제공 또는 호스팅하는 것이 주목적이거나 사용자 사이에서 이러한 콘텐츠가 활발하게 공유되는 공간으로 알려진 앱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UGC를 포함하거나 제공하는 앱은 다음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앱을 통해 호스팅되는 UGC의 유형에 부합하며 합리적인 방식으로 확고하고 효과적이며 지속적인 UGC 검토 방식을 도입해야 합니다.
- 실시간 스트리밍 앱의 경우 불쾌감을 주는 UGC가 최대한 실시간에 가까운 속도로 삭제되어야 합니다.
- 증강 현실(AR) 앱의 경우 UGC 검토(앱 내 신고 시스템 포함)에는 불쾌감을 주는 AR UGC(예: 외설적인 AR 이미지)와 민감한 AR 앵커링 위치(예: 군사 기지 또는 AR 앵커링으로 인해 소유자에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사유 재산과 같은 제한된 지역에 앵커링된 AR 콘텐츠)가 모두 고려되어야 합니다.
- 불쾌감을 주는 UGC를 신고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인 앱 내 시스템을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UGC를 대상으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앱의 이용약관 또는 사용자 정책을 위반하는 불량 사용자를 삭제하거나 차단해야 합니다.
사용자 제작 콘텐츠 정책 페이지에서 자세한 내용과 일반적인 위반 사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현재 앱에는 각 UGC 그리고 사용자에 대해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인앱 시스템이 충분히 구현되고 있지 않습니다.각각의 불쾌한 UGC에 대해 신고하는 기능과 더불어, 악의적인 사용자에 대해 신고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유저가 악의적인 사용자를 차단할 수 있는 기능도 포함해야 합니다.
저희는 구글의 답변을 토대로 UGC 관련 기능을 수정했습니다.
기존에 있던 리뷰 리스트 페이지에서 사용자 신고 와 사용자 차단 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차단한 사용자의 리뷰는 리뷰 리스트에서 보여주지 않는 로직도 함께 추가했습니다.
그 결과 한 번에 심사를 통과를 했습니다.🎉🎉🎉
이 문제로 3주 동안 심사 거절을 당하고 문제 해결하려고 계속 노력했는데 드디어 끝났습니다.
요즘 다른 커뮤니티에서도 UGC 정책 미준수로 인한 거절을 당하시는 개발자분들이 많으신 것 같은데
정확한 원인을 파악 못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구글에서도 더욱 정확한 원인을 심사 거절 사유에 포함에서 넣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갑자기 구글이 심사를 강화한 이유가 사전 조치 의무 사업자에 포함된 것으로 추측을 하고 있습니다.
사전 조치 의무 사업자에 포함된 구글은 사용자 리뷰, 커뮤니티 글과 같은 사용자 생성 콘텐츠 정책을 더욱 강화한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해당 글 잘 읽었습니다.
이번에 앱 업데이트를 했는데 저도 똑같은 사유로 심사거절이 되었습니다.
자유게시판에서 사용자가 작성한 글에서 문제가 있다고 하네요.
부적절한 글인 경우 상세보기에서 "신고하기" 기능의 버튼을 넣으면 되는데요.
사용자차단은 자유게시판인 경우 어디에 그리고 어떤식으로 인터페이스를 만들어야 될지 감이 오지 않습니다.
혹시 작성자분께서는 어떤식으로 하셨는지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