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폼 코드에서 리소스 참고할 때 봐야하는 문서https://registry.terraform.io/providers/hashicorp/aws/latest/docs
CI/CD란? CI는 개발자를 위한 자동화 프로세스인 지속적인 통합(Continuous Integration)을 의미합니다. CI를 성공적으로 구현할경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새로운 코드 변경 사항이 정기적으로 빌드 및 테스트되어 공유 리포지토리에 통합되므로 여러 명의
GitLab Runner는 GitLab CI/CD(Continuous Integration/Continuous Deployment) 파이프라인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기입니다. GitLab CI/CD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에서 자동화된 테스트, 빌드 및 배포를 수행하는
무언갈 배보할 때 json 파일에 중요한 정보가 담겨져있어 수정되면 곤란한 파일이 있을 때 aes256 암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암호화 키를 만들고 암호화 한 후 open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여기에선 cryptography 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여기서 암호화
mysql-workbench에서 drop이나 delete 같은 명령문으로 데이터를 삭제하고 싶은 경우가 있는데 기본으로 안전모드가 걸려있어서 에러가 생길 것이다. 그럴 땐 아래의 명령어로 안전모드를 해제하고 시도하면 잘 수행된다.
terraform을 통해 생성한 aws 자원들도 terraform을 통해 일괄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이번엔 전 시간에 terraform으로 띄웠던 network위에 ecs backend를 띄워도도록 하겠습니다.참고workspace 생성 및 배포전에 연동시킨 git에 tarraform을 위한 백엔드 프로젝트를 push해야 합니다. 해당 코드를 하나의 폴더에 넣고 pus
전 포스팅에 이어서 workspace를 생성하고 배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참고\[terraform] organization 생성(gitlab)전에 연동시킨 gitlab에 tarraform을 위한 네트워크 프로젝트를 push해야 합니다. 해당 코드를 하나의 폴더에
Terraform은 인프라스트럭처를 프로그래밍하는 도구로, 인프라스트럭처를 코드로 정의하고, 이를 자동으로 프로비저닝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즉,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를 코드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Terraform은 다양한 클라우드 플랫폼 및
gitlab-ctl은 GitLab의 서버 관리 도구입니다. GitLab은 웹 기반 Git 저장소 관리 및 지속적인 통합 및 배포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gitlab-ctl은 이러한 GitLab 인프라를 관리하기 위한 명령 줄 도구입니다. gitlab-ctl을 사
airflow.cfg의 default_timezone을 찾아서 다음과 같이 변경변경 후에 scheduler와 webserver를 다시 시작하도록 하자.
내가 만든 파이썬 파일을 exe 실행파일로 만들기 위해 pyinstaller라는 패키지를 사용할 수 있다.여기서 --onefile 옵션을 넣아야 1개의 실행파일로 출력된다.여기서 다 작성된 후에 실행을 해보면 특정 패키지를 제대로 불러오지 못해 에러나는 경우가 발생할
.pyc는 파이썬 코드를 보호함과 동시에 스크립트의 실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해당 방법을 수행하면 pycache 폴더에 .pyc 파일이 만들어지는데 이걸 원래 .py 파일이 있던 경로에 확장자만 빼고 똑같은 이름으로 수정하면 잘 작동
리눅스에서 반복적인 스크립트를 수행할 때 이를 한번에 관리하고 실행하기 위한 .sh 파일을 만드는 법을 찾아보았다.간단하게 Hello, World!를 출력하는 코드chmod로 해당 파일에 실행권한을 부여해야 한다.
운영 DB에 있는 테이블을 개발용으로 따로 복사하고 테스트하기 위해 이러한 기능을 찾아보았다.테이블 구조 복사를 하면 안에 있는 데이터까지 모두 가져올 수 있다.데이터 복사는 동일한 구조의 테이블이 있을때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만 가져올 때 사용하면 된다.
세션 시작 전, 궁금했거나 알고 싶었던 내용서버를 운용하면서 로그 수집 및 모니터링 같은 부분은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것과 aws 월 사용 요금 보는법주차 별 학습 내용 리뷰이번주는 이제까지 지난 시간에서 배웠던 내용을 복습 및 QnA하는 시간을 가졌다. 1~5주차 까지
세션 시작 전, 궁금했거나 알고 싶었던 내용CI/CD에 대해 말은 많이 들었었지만 정확히 어떤의미로 사용되고 있는지 알고 싶었다. 그래서 이번에 CI/CD에 대한 개념 및 방법에대해 대략적으로 알 수 있어서 유용했다.주차 별 학습 내용 리뷰일단 CI는 지속적인 통합(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