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최석규·2022년 3월 4일
0

개인 공부

목록 보기
3/3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개념

  • 데이터베이스의 유형을 알아보고 개념 및 특징을 이해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중심으로 한 정보 시스템의 발전 과정
  •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컴퓨터에 어떻게 저장되는지 이해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 요소

1.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1.1 데이터, 정보, 지식

  • 데이터 (data)
    - 관찰의 결과로 나타난 정량적 혹은 정성적인 실제 값
  • 정보 (information)
    • 데이터에 의미를 부여한 것
    • 비즈니스 목적으로 가공 처리된 데이터
  • 지식 (knowledge)
    -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이해
    - 데이터와 정보, 경험을 통해 축적된 기술

1.2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논리적으로 연관된 데이터를 모아 구조적으로 통합해 놓은 것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주로 데이터의 검색과 변경 작업을 주로 수행
    - 검색
    • 변경

- CRUD (Creat, Read, Update, Delete)

1.3 데이터베이스의 개념

- 통합된 데이터 (integrated data)

  • 데이터를 통합함으로써 각자 사용하던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 및 중복으로 인한 데이터 불일치 현상 방지함

- 저장된 데이터 (stored data)

  • 문서로 보관된 데이터가 아닌 하드디스크 및 외부 저장기기와 같은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

- 운영 데이터 (operational data)

  • 조직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 업무를 위한 검색을 할 목적으로 저장된 데이터

- 공용 데이터 (shared data)

  • 한 사람 또는 하나의 업무를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가 아닌 공동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2.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발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 데이터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 CPU에 상주하며 유저와 데이터베이스를 연결

- 데이터베이스 (Database)

  • 데이터(Data)를 모아둔 기반?(base)
  • 물리적으로 하드디스크에 저장

- 데이터 모델 (Data Model)

  •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법에 관한 내용
  • 데이터가 저장되는 논리적 유형 을 나타냄

2.1 파일 시스템

  • 데이터를 파일 단위로 파일 서버에 저장
  • 각 데이터는 LAN을 통해 파일 서버에 연결되어 있고,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 OPEN/CLOSE를 요청
  • 독립적으로 파일을 다루기 때문에 데이터 중복 가능성 있음
  • 일관성 훼손 우려

2.2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DBMS를 도입하여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 server/client 통신
  • 각 컴퓨터의 응용프로그램이 아닌 DBMS 서버가 파일을 다루며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 복구, 동시 접근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함
  • 때문에 데이터의 중복을 줄이고 표준화하며 무결성 유지

2.3 웹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2.4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profile
화학에서 데이터로 핸들 틀자마자 GPT 출시되서 수혜(?)받는 중 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