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적 데이터 모델링(ER 다이어그램으로 실현) ->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릴레이션으로 실현) -> 데이터 구조화(실제 DB에 저장)
개체 타입:개체를 고유의 이름과 속성들로 정의한 것
개체 인스턴스:개체를 구성하고 있는 속성이 실제값을 가짐(튜플,레코드에 해당)
개체 집합:개체 인스턴스들을 모아놓은 것
단일 값 속성:값을 하나만 가질 수 있는 속성
다중 값 속성:값이 여러개, 이중 타원으로 표현
단순 속성:의미를 분해할 수 없는 속성 예)고객 개체의 아이디, 책 개체의 이름 및 가격
복합 속성:의미를 분해할 수 있는 속성 예)고객 개체의 생년월일->연,월,일로 세분화
이분화된 개념이 아니라, 사용 목적에 따라 속성부류가 달라짐
각 개체 인스턴스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속성, E-R 밑줄로 표현(주로 기본키)
개체와 개체가 맺고 있는 연관성, 매핑을 의미, 마름모로 표현
예)고객 개체와 책 게체 간의 구매관계
관계를 맺는 두 개체 집합에서, 각 개체 인스턴스가 연관성을 맺고 있는 상대 개체 집합의 인스턴스 개수
일대일 관계:개체 A의 개체 인스턴스가 개체 B의 개체 인스턴스 하나와 관계를 맺음
->함수 관계 성립 예)남편 개체와 아내 개체는 부부 또는 결혼이라는 관계를 갖는데, 일부일처제에 의해 일대일 관계를 갖는다.
일대다 관계:개체 A의 개체 인스턴스가 개체 B의 개체 인스턴스 여러 개와 관계를 맺음 -> 개체 A에 대해서는 함수 관계 불성립, 개체 B는 함수관계 성립
예)부서 개체와 사원 개체는 소속이라는 관계를 갖고 일대다 관계이다
3.다대다 관계:둘다 개체 인스턴스 여러 개와 관계를 맺을 수 있어서 함수 관계 불성립 예)고객 개체와 책 개체는 구매(또는 소유)라는 관계를 통하여 다대다 관계를 갖는다.
전체 참여:모든 개체 인스턴스가 관계에 반드시 참여해야 되는 것을 의미
이중선으로 표현, 엄격한 제약조건이라 거의 사용되지 않음
->주로 약한 개체의 관계표현에 사용된다.
부분 참여:개체 인스턴스 중 일부만 관계에 참여해도 되는 것
예)학생-과목(휴학 등 허용), 고객이 책을 구매하지 않을 수 있음
다대다 관계인데 꼭 관계에 전체참여일 필요는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