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Icarus<Wing>·2022년 10월 15일
0

basic DB

목록 보기
2/11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등장 배경


파일 시스템

  • 데이터를 파일로 관리하기 위해 파일을 생성,삭제,수정,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 데이터를 별도의 파일로 관리

문제점

  • 여러 파일에 중복 저장 -> 데이터 중복성
  • 데이터 일관성과 데이터 무결성(잘못된 값이 없음을 의미)을 유지하기 어려움
  • 응용 프로그램이 데이터 파일에 종속적 -> 데이터 종속성
    • 즉, 파일의 구조를 변경하면 응용 프로그램도 함께 번경해야 한다.
  • 파일에 대한 동시 공유, 보안, 회복 기능이 부족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정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 파일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 데이터 중복성, 종속성 문제를 해결!

DMBS의 주요 기능

  • 정의 기능:db의 구조를 정의하거나 수정
  • 조작 기능:데이터를 삽입, 삭제, 수정, 검색하는 연산
  • 제어 기능:데이터를 항상 정확하고 안전하게 유지

DBMS의 장단점

  • 장점: 동시 공유 -> 데이터 표준화
    회복 가능, 보안, 무결성 유지, 응용프로그램 개발 비용 줄어듦
  • 단점:운영 비용 많이 듦, Single point of failure를 일으킬 수 있다

    (줄여서)SPF 또는 SPOF:하나의 포인트가 오류를 발생시키면 서비스가 중단됨, 그러니까 하나의 서버가 터지면 서비스가 중단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 Distributed system을 통해 해결 가능


DBMS의 발전 과정

  • 1세대:네트워크 dbms(그래프 형태), 계층 dbms(트리 형태)

  • 2세대:관계 dbms(구조화된 데이터, 테이블 형태)
    예)mysql, 오라클, ms sql서버 등

  • 3세대:객체지향 dbms인데 안씀!

  • 4세대:NoSQL(비정형 데이터를 처리)

    1. 비정형이라 유연성
    2. 여러 대의 서버 컴퓨터에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고 처리하는 환경에서 사용
      ->위에서 본 SPF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예)mongoDB,카산드라 등
      Newsql DBMS:관계 DBMS의 장점+NoSQL의 확장성 및 유연성
profile
모든 코드에는 이유가 있기에 원인을 파악할 때까지 집요하게 탐구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