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드 포밍 컨버터

CSEOP·2022년 8월 4일
0

Power Control

목록 보기
1/2

Outline

  • GFM(Grid Forimg) Converter
    • 인버터 출력 전압을 제어하여 전력을 조절
    • 토폴로지의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위상정보 필요 X
    • 작은 직렬 임피던스를 가진 전압원 동작
    • 무부하 조건에서 부하 및 근처 다른 장치의 기준 전압을 제공

  • GFL(Grid Following) Converter
    • 상위제어기의 유/무효전력 지령을 통해 출력하는 전류제어
    • 높은 병렬 임피던스를 가진 전류원 동작
    • 전류 주입을 위한 계통(Grid)의 위상정보 필요

GFM / GFL 비교 [0]

  • 다른 동작원리지만 정상상태에서 유/무효전력 주입, 컨버터의 전압, 전류 제한 등 제어함
  • 추가 외부 루프로 PCC단 전압/주파수 조건과 계통 코드에 요구되는 실제 유/무효전력 설정이 가능함
  • 두가지가 비슷해 보이나 Notion or Thevenin 등가회로로 상호교환 X
  • 계통에 같은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다르게 동작함

GFL

  • IgI_g의 크기 및 위상을 일정하게 유지 \rarr 컨버터 전압(VcV_c) 위상이 변함
    : 새로운 전류 설정 값 계산을 위해 새로운 VgV_g의 위상각 검출이 필요
  • 계통의 전압 각도, 컨버터 전류의 위상 이동을 계산하기 위한 전용 장치 필요
    : 유/무효전력 공급을 위해

GFM

  • IgI_g의 즉각적인인 변화로 인해 컨버터의 내부 전압 위상(EE)은 거의 변화가 없음
  • 컨버터 전류의 빠른 증가로 하드웨어 구성 요소가 위태로울 수 있음
  • 동기기의 전력동기화 원리 모방을 통해 계통에 동기화 가능


A. Grid Forming Converter

  • 계통의 환경변화로 인해 그리드 포밍(GFM)기술이 대두됨
    \quad(동기발전기 \rarr 인버터 기반 발전원, Micro & 독립 계통에 적용)
  • 가상동기기 모델 제어, 동기발전기 등가회로 기반 모델 제어, Droop 제어 등

  • 대부분 동기기 기반 방법을 사용하나 위상각에 의한 안정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전압원 동작으로 인해 GFM 컨버터의 전류가 계통의 상황에 의해 결정되어 빠르게 변할 가능성이 있음
    \rarr Fault Ride-Through 전략이 필요함
  • 계통연계와 독립운전 간 Hot-Swap 이슈가 있음



B. GFM Converter Algorithms

1. Outer Loop - 동기화

\quad 1) Droop Control

  • DfD_f는 Droop 계수, 설정 전력(P{P^*})과 측정된 순간 전력(PP) 차이에 따른 컨버터 주파수 변화를 나타냄

\quad \quad ω=ωref+Df(PP)\omega = \omega_{ref} + D_f(P^* - P)

  • 위 식으로 부터 θ\theta 를 얻을 수 있음
  • 간단한 구조, 정상 운전시 동기화 목적의 추가 장치 필요 X

\quad 2) PSC(Power Synchronization control)

  • 동기기의 메커니즘을 모방하여 과도 전력 전달로 동기화 달성
  • Weak 계통에서 기존 벡터 제어 VSC(Voltage Source Converter)의 한계를 대응하기 위해 개발됨

\quad \quad θ=1s\theta = {1\over s}[ki(PP)]+θref[k_{i}(P^*-P)]+\theta_{ref}

  • kik_i는 제어변수, ωref\omega_{ref}를 적분하여 θref\theta_{ref}를 얻음
  • 동기화 장치가 필요 X, 사전 동기화 및 계통 Fault 시 백업 PLL 사용
    ※ 백업 PLL; 정상상태에서 필요 X, 과전류 제한을 위해 사용 [10]

\quad 3) EDPC(Enhanced Direct Power Control)

  • PSC와 비슷한 구조
  • 계통 Fualt 시 자기동기화에서 PLL모드로 전환을 방지하기 위해 정상 동작에서 PLL 사용을 예상함
  • 출력 주파수는 PLL에 의해 제공되나 θ\theta 계산은 수식을 따름

\quad \quad θ=[PP+1Rd(ωref)ωPLL]G(1+1Js)+θPLL\theta = [P^*-P+{1\over R_{d}}(\omega_{ref})-\omega_{PLL}]G(1+{1\over Js})+\theta_{PLL}

  • PI 제어기 이득 GG 와 시간 상수 JJ로 구현, RdR_d는 주파수 Droop 계수의 역수
  • 시간상수 JJ는 주파수 변화에 따른 컨버터 응답을 형성하기 위한 추가적인 자유도 역할을 하며 동기기와 유사한 동작 제공 [11]
  • 가상 동기기의 동기화 루프는 단순성을 위해 실제 동기기 스윙방정식을 모방하여 제공 [30]

\quad \quad Jω˙=TmTeDfJ \dot \omega = T_m-T_e-D_f ω\omega

  • 관성 모멘트 JJ, 로터속도 ω\omega, 기계적 마찰 DfD_f, 전기적 토크 TeT_e, 기계적 토크 TmT_m

\quad 4) Synchronverter

  • 가상 동기기로서 알려짐 [13], [14]
  • 정상상태와 사전동기화를 동시에 가능하게 함
  • 실제 동기기를 모방한 프로세스를 사용하지만 표준 PLL과 비슷함 [31]
  • 자유도 보상을 위해 원래 Synchronverter 제어구조를 수정해서 제안됨
    : 정상상태 Droop 동작을 유지하며, 제어의 동적 응답을 개선 [32]
  • PI 제어기를 통해 컨버터의 Droop 제어 동작을 on/off 함
    \quad \quad θ=1s[(PP)1Jωns+DpJ(1+DpPIp(s)+ωrefDpJ(1+DpPIp(s))s+DpJ(1+DpPIp(s))]\theta = {1\over s} \left[{(P^*-P){1\over J\omega_n}\over s+{D_p\over J(1+D_pPI_p(s)}}+\omega_{ref} {{{D_p\over J(1+D_pPI_p(s))}}\over {s+{D_p\over J(1+D_pPI_p(s))}}}\right]

\quad 5) SPC(Synchronous Power Control)

  • 내부 주파수 루프에 2차 전달함수 구현, PPP^*-P에 작용

  • 추가 주파수 Droop 루프가 구현되어 계통 주파수 ω\omegaωref\omega_{ref} 사이의 편차에 따라 유효전력을 조절함
    : ω\omega는 추정 예시; PLL 등
    \quad \quad θ=1s[(PP)1Jωgs + 2ζKpJωg+ωref]\theta = {1 \over s} \left[{(P^*-P){1 \over J\omega_g}\over{s\ +\ 2\zeta\sqrt{{K_p\over J\omega_g}}}} + \omega_{ref}\right]

  • 가상 관성 JJ, 댐핑 계수 ζ\zeta, KpK_p는 컨버터의  ⁣θ\vartriangle\!\theta ⁣P\vartriangle\!P 사이의 전달함수의 정상상태 값

\quad 6) 구조 분석

  • Df=kiD_f =k_i로 가정하면 아래 방정식은 Droop 제어와 PSC 제어 모두에서 유효함

    \quad \quad θ=1s[Df(PP) +ωref]\theta = {1\over s}\left[D_f(P^*-P)\ +\omega_{ref} \right]

  • 가상 동기기의 관성을 00으로 했을 경우 Droop 제어 구조와 같음 [17]-[19]
    : (측정된 컨버터 전력 PP는 1cycle 의 Boxcar Filter로 처리)

  • 측정된 컨버터 전력을 필터링하여 Droop제어기로 가상 동기기와 동일한 관성 응답 달성 가능 [9]

  • Synchronverter와 SPC의 가상 동기기 구조의 동등성은 [33]에서 입증

  • ???Synchronverter에 대해 산출하는 전력 차이 Pdiff=PPP_{diff}=P^*-P는 3)에서의 수식을 미분하여 다음 수식을 얻음
    \quad \quad  θ Pdiff=1s[1Jωns+DpJ]{\partial\ \theta \over\partial\ P_{diff}}={1\over s} \left[{{1\over J\omega_n}\over {s+{D_p\over J}} }\right]

  • SPC에 수식에도 같은 계산을 적용 시,,
    \quad \quad  θPdiff=1s[1Jωns + 2ζKpJωg]{\partial\ \theta\over\partial P_{diff}}= {1\over s} \left[{1\over J\omega_n}\over{s \ + \ 2\zeta \sqrt{K_p\over J\omega_g}} \right]

  • 결과적으로 가상동기기 구현의 제어 파라미터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면 수식은 동일함
    \quad \quad Jωn=JωgJ\omega_n=J\omega_g ;\quad ; \quad DpJ=2ζKpJωg{D_p\over J} = 2\zeta \sqrt{K_p\over J\omega_g}


2. Outer Loop - 전압 크기 양상






출처 및 참조

  • [0]의 문헌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참조 번호를 똑같이 매김
  • Reference
    [0] R. Rosso, X. Wang, M. Liserre, X. Lu and S. Engelken, "Grid-Forming Converters: Control Approaches, Grid-Synchronization, and Future Trends—A Review," in IEEE Open Journal of Industry Applications, vol. 2, pp. 93-109, 2021
    [10] L. Zhang, L. Harnefors and H. Nee, "Power-Synchronization Control of Grid-Connected Voltage-Source Converters," in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25, no. 2, pp. 809-820, May 2010

Revision. 22. 08. 05.

profile
PCS, 전기설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