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강) 데이터베이스와 SQL 1.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DB) 데이터: 컴퓨터에 기록된 숫자 또는 정보.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 저장 장치에 정리되어 보관된 데이터의 집합.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해야 하므로 하드디스크(HDD) 또는 SSD(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보관. 예시: 계산대(포스 시스템), 휴대폰 전...
9강. 정렬 - ORDER BY ORDER BY 기본 정렬 방식: 오름차순(ASC) 내림차순: ORDER BY 열명 DESC 오름차순: ORDER BY 열명 ASC 데이터 타입별 정렬 방식: 숫자: 값의 크기 기준 날짜/시간: 값의 크기 기준 문자열: 사전식 순서 10강. 복수 열 정렬 여러 열을 콤마로 구분하여 정렬 가능 예시: ORDER BY ...
4장 데이터의 추가,삭제 갱신 16강 행 추가하기 - INSERT INSERT INTO 테이블명 VALUES(값1,값2,....) 테이터를 추가하는 경우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형식 -> 서버측은 전송받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저장 ex) 웹페이지에 신규등록이나 추가 버튼 RDBMS에선 INSERT 명령을 사용해 테이블의 행 단위로...
데이터베이스 설계 데이터베이스 설계란? 스키마 내에 테이블, 인덱스, 뷰 등의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정의하는 작업 주요 내용: 테이블의 이름, 열, 자료형 결정 용어 물리명: 실제 DB에 사용되는 이름 (예: CREATE TABLE에서 사용) 논리명: 설계 단계에서의
6장 데이터베이스 객체 작성과 삭제 25강. 데이터베이스 객체 RDBMS 설치 직후는 데이터베이스가 비어 있음 테이블, 뷰, 인덱스, 프로시저 등의 객체를 생성하여 DB를 구축 데이터베이스 객체란? 데이터베이스 내에 정의되는 모든 것 (예: 테이블, 뷰, 인덱스 등) 객체는 이름을 가지며 데이터베이스에 실체를 가짐 이름 지정 제약사항 기존 이름이나...
5장 집계와 서브쿼리 20강. 행 개수 구하기 - COUNT 집계함수 집합을 다루는 함수 COUNT(집합) SUM(집합) AVG(집합) MIN(집합) MAX(집합) COUNT 사용 COUNT는 *를 유일하게 인수로 사용 가능 WHERE 구의 유무와 관계없이 결과는 하나의 행 반환 조건에 따라 행 개수 카운트 가능 NULL은 무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