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기초] 문자열의 뒤의 n글자

JE·2023년 5월 10일
1

코테/코플릿

목록 보기
1/57
post-thumbnail

💻 문자열의 뒤의 n글자

문제 설명

문자열 my_string과 정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my_string의 뒤의 n글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my_string은 숫자와 알파벳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 my_string의 길이 ≤ 1,000
1 ≤ n ≤ my_string의 길이

입출력 예

my_stringnresult
"ProgrammerS123"11"grammerS123"
"He110W0r1d"5"W0r1d"

입출력 예

입출력 예 #1
예제 1번의 my_string에서 뒤의 11글자는 "grammerS123"이므로 이 문자열을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2
예제 2번의 my_string에서 뒤의 5글자는 "W0r1d"이므로 이 문자열을 return 합니다.텍스트

💻 내가 푼 코드

function solution(my_string, n) {
   return my_string.slice(-n)
}

💡 알게 된 점

slice()에서 뒤에서 잘라야할 경우 음수로 작성하는 걸 알 고 있었는데

function solution(my_string, n) {
   return my_string.slice(my_string.length - 1, n)
}

로 했더니 결과 값을 반환하지 않아서 뭐지..? 이랬던 거 같다.

slice (시작위치, 종료위치)

이걸 생각하면 만약
"He110W0r1d"의 길이는 10이고, n이 5인 경우
my_string.slice(10, 5)인데 결과 값 0이 나온다.

"He110W0r1d"의 길이는 10인데 slice의 첫번째 인자는 시작 위치인데
벗어났기 때문이다.

그러다 알게된 사실은
slice(-n)으로 작성하게 되면 뒤에서 부터 n숫자 까지 구할 수 있다.


✏️ 마치며

너무 기초직인 실수를 한 거 같다.
기초 부분이 부족해서 틈틈히 기초를 다시 배우자 생각했다..

profile
[프론트 애송이] 작은 깨달음도 기록하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