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성
FHS (Filesystem Hierarchy Standard)
- 리눅스 디렉토리 계층 구조 표준
- 리눅스 배포자나 다른 UNIX 계열 시스템이 갖고 있던 각각의 고유한 디렉터리 구조를 통일하기 위한 것
마운트(mount)
- HDD 등의 block device상의 파일 시스템을 디렉터리 트리의 일부에 설치하는 것
파티션
- 어떤 시스템을 여러 개의 영역으로 분할했을 때 생간 한 영역
- 장점1 : 시스템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나눌 수 있다.
- 장점2 : 시스템 영역과 데이터 영역 외에 로그 영역을 만들어 두면 만약 시스템 영역과 테이터 영역의 용량이 꽉 차더라도 로그 영역에 여유만 있으면 어떻게든 시스템을 부팅 시킬 수 있다.
- 하나의 HDD에는 4개까지 파티션을 만들 수 있다.
- 4개의 파티션 중 하나를 확장 파티션으로 해 두면 여러 개의 논리 파티션을 포함한 4개 이상의 파티션을 구성할 수도 있다.
❗홈 디렉토리 깔끔하게 정리하는 법❗
1. 파일명, 디렉토리 이름은 알파벳으로 하며 한글이나 한자는 쓰지 않는다.
2. 온점(.)으로 시작하는 설정 파일 이외의 파일은 홈 디렉터리 바로아래에 두지 않는다.
3. 내려받은 소스들을 저장해두는 scr 디렉터리를 만든다.
4. repository는 각각 따로 디렉터리를 만든다.
5. 임시 파일 디렉터리 tmp를 만들어둔다. (여기에 crontab 커맨드로 정기적으로 삭제해준다)
6. 작업용 디렉토리 works를 만들며, 그하위에 안건별로 서브 디렉토리를 만든다.
/(루트)
/boot
- 리눅스 커널, init ram fs 파일, 부트 로더 GRUB의 설정 파일 등이 들어 있는 디렉토리
/etc
/bin
- 시스템 관리자와 사용자가 사용하는 커맨드 모음
/sbin
- 시스템 관리자가 이용하는 커맨드 모음
- 시스템 유지보수, 사용자의 추가와 삭제, 프로세스 감시등에 필요한 도구 관련
/usr
-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 간에 공유하는 데이터가 들어가있는 디렉토리
/home
/var
- variable 데이터를 두는 디렉토리 (스풀이나 로그 등)
/proc
- 리눅스 프로세스와 커널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파일 시스템
/sys
/dev
/tmp
참고
- 리눅스 시스템의 이해와 활용;구조와 설정 이해를 통한 활용 능력 향상 (쿠츠나 료스케 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