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GER는 첫 select와 동시에 join으로 참조 항목을 가져온다. LAZY는 첫 select에서 join을 하지않고 참조가 필요할 때 추가로 select를 요청하고 가져온다. ManyToOne의 default FetchType은 EAGER ....
외래 키의 주인은 @JoinColumn(name = 컬럼명)를 사용하고 (양방향이라면) 반대편은 (mappedBy = 외래 키의 주인에서 '나'를 가르키는 필드명)을 사용한다. 외래키의 주인이 아닌 쪽에서 연관 관계 객채를 참조하고 싶다면 양방향을 설정하고 ...
루틴을 통해서 무언갈 성공적으로 경험한다면 관점이 바뀌고 심리,정서,안정감에 좋은 영향을 준다고 한다. TIL과 WIL은 성장,기록,회고 등 많은 순기능이 있고 나에게는 루틴의 일부로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해주는 효과도 있는 듯 하다.
앞의 포스팅에서 jpa를 다루던 것은 hibernate-core이다. 이번엔 spring boot에서 jpa를 어떻게 다루는지 살펴보자. data-jpa 를 사용한다. java에선 xml파일로 설정하고 EntityManager, EntityManagerFactor
영속성 컨텍스트 : Entity 객체를 효율적으로 쉽게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공간이다. 객체의 생명(유지되는 시간)이나 공간(위치)을 유지하고 이동한다.영속성 컨텍스트에 접근하고 조작하기 위해선 EntityManager가 필요하고 EntityManagerFactory
다음과 같은 ERD가 있다.등록된 book을 findAll한다고 했을 때 문제가 발생한다.Book entity에 @ToString 을 적용했다면 println에서 자동으로 toString이 동작한다. book -> bookStore -> book -> bookStor
ArrayList는 Vector, LinkedList는 list라 하자.new ArrayList<>();로 벡터를 생성하면 elementData에 빈 obejct를 할당한다.최초 add가 들어오면 if (s == elementData.length) 해당 분기에 걸
중소SI 면접을 다녀왔고Springboot를 공부했다.취업이 짧은 게임이 아니라 생각하고 마음을 편하게 가지기로 했다.어떤 기업의 어떤 직무든 자기 자신에 대해 의문을 가지는 것이 취업에 공통 요구사항이라 생각한다.그런 의미에서 시니어 기술매니저님 특강에서도 공통점을
boolean @getter 는 isAdmin() 으로 작성된다. boolean값은 is로 시작하는게 보통이다. ex) OptionalType.isEmpty()/isPresent() 기본 DTO는 null값이 할당될 수 있었다 ....
Spring의 life cycle이다.Spring Security도 많은 filter로 구성 돼있다.Security의 목적은 controller에서 인증/인가를 분리하고 filter단에서 손쉽게 처리하기 위함이다.인증 - 해당 유저가 실제 유저인지 인증인가 - 해당 유
ExceptionHandler가 속해있는 controller에서 Handler에 명시된 예외 발생시 동작한다.ResponseEntity는 response의 header, body, status를 설정할 수 있다.전역 controller에서 예외처리를 하고 싶다면 @Co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타입 헤더에 dto로 받을 때 (1)은 못 들어오고 (2)는 잡힌다. (Dto는 setter있어야 잡힌다.) dto아니면 (1)도 잡고 (2)도 잡는다.
면접에서 node로 백엔드를 진행했다고 말하고나서 WAS로 어떤 걸 사용했냐는 질문을 받았다.Node.js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사용될 수 있는 환경이다. 그냥 node.js를 WAS라 할 수 있지않을까?React도 보통 node따로 띄우는데 (SSR이냐 CSR이냐
list slice 복사 : list.stream().skip(i + 1).collect(Collectors.toList()); 앞에서부터 skip 개수만큼 건너뛴다. 마지막 변환을 stream().toList() 로 가능한데....
위와 같이 동작하는 숫자 야구를 만들어 보자. initGame()으로 정답을 초기화하고 play()로 유저의 예측에 대해 결과를 반환한다. 결과가 3S가 나오면 게임은 종료된다.
취업 준비를 하면서 내가 고민하고 있던 부분을 정의하는 것 같은 댓글을 찾았다.도메인 기술과 개발 기술의 구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