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무선 랜의 구조
2. SSID의 구조
케이블이 닿지 않는 곳에서도 통신을 할 수 있다.
유선보다 속도가 불안정하고 전파가 약하면 연결이 잘 안된다.
유선 랜에 비해 통신 내용이 해킹될 위험이 높다
암호화나 인증 설정을 반드시 해 두어야 한다.
- USB 메모리 방식 어댑터
- 컴퓨터 카드 방식 어댑터
infrastructure 방식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통신하는 방식
주로 쓰는 방식이다
Ad Hoc 방식
무선 클라이언트끼리 직접 통신하는 방식
무선 랜은 IEEE802.11 규격을 준수하는 기기로 구성되어 있다.
IEEE802.11 : 미국 기술 표준화 단체인 IEEE에서 승인한 무선 랜의 표준화 기술
- 다양한 무선 랜 규격이 있다.
IEEE802.11ad
IEEE802.11ac
IEEE802.11n
IEEE802.11a
IEEE802.11g
IEEE802.11b
- 이들은 최대 통신 속도, 주파수 대역 등에 따라 분류된다.
- 여러 규격을 지원하는 제품이 있을 수 있다.
- 무선 클라이언트도 이 규격을 따라야 통신이 가능하다.
무선 랜을 구성하는 장비 중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무선 공유기 또는 무선 AP 라고 부른다.
비컨(beacon) :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기기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자기를 알리는 신호
무선 클라이언트가 이 신호를 잡아서 연결한다.
연결 과정
무선 액세스 포인트 >> 무선 클라이언트
- 비컨 전송
무선 액세스 포인트 << 무선 클라이언트- 같은 SSID인지 문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 무선 클라이언트- 같은 SSID라고 응답
무선 액세스 포인트 <<>> 무선 클라이언트- 인증
무선 액세스 포인트 << 무선 클라이언트- 접속 요구
무선 액세스 포인트 >> 무선 클라이언트- 승인 응답
같은 채널을 사용하되 전파를 겹치지 않게 하려면 거리를 떨어트려 설치해야 한다.
최적의 채널을 찾아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