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거 정리를 좀 해야겠음,, git branch 로 협업git commit, add 취소async await 정리POST GET DELETE UPDATE API 생성Pm2 무중단배포 RDS > mariaDBS3 > multerEc2 vim 편집(.env) 내용 추가정도
공부를 하다보니 내 진로에 대해 고민을 하게됐다. 친구따라 강남간다고 내가 진로에대해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보니 무작정 동기들은 서버공부를 하고있다고해서 나도 서버를 해보자는 마음을 먹게됐다. 그런데 나는 서버가 무엇인지 백엔드는 무엇인지 또 프론트는 무엇인지 제대
웹사이트를 구현하다보면 JSP를 계속 수정하게된다. 나는 Rebuild를 해서 웹을 고쳤지만, 이럴 필요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JSP를 수정해도 자동으로 리로드 되도록 설정하는 방법이 있었다. > 첫번째: 오른쪽 상당에 Edit Configurations를 클릭한다
워크벤치 사용방법 간단정리!0번째: 사전에 DB설계서를 작성해놓아야한다첫번째: 워크벤치를 실행한다두번째: Local instance 3306에 접속한다 (클릭하면 패스워드가 뜰텐데.. 입력하면 됨 ㅎㅎ..)세번째: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툴바의 스키마 생성 클릭Sche
게시글의 수가 10개가 넘었을때, 다음페이지로 넘어가게끔 만들고 싶었다!이때 '페이징'이라는 방법을 알게됐다.참고한 사이트 먼저..!https://freehoon.tistory.com/112페이징을 만드는 순서는 대략 이렇다.Pagination 클래스를 따로
input이나 textarea 태그에 minlength와 maxlength를 설정해주면 된다! 최소5 최대1000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아래 그림처럼 경고창이 생성되며 제출이 불가능해진다.
워크벤치 사용법과 CRUD 설명 https://blog.naver.com/15elly/221862179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