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물리적보안

­3zu·2024년 5월 24일
0

산업보안관리사

목록 보기
1/5
post-thumbnail

감지기

방범용 감지기

자석 감지기

수동형 감지기
자력의 변화에 의해 스위치 회로 작동
전원 필요 없음
구조가 간단함
출입문이랑 창문 열리는 것 감지

적외선 감지기

적외선 빔을 발생하는 송신기 + 수신기 구조
빔이 차단되면 경보 작동
날씨에 의해 오작동 가능

열선 감지기

수동형 감지기
초전효과 사용 (온도의 변화에 의해 전압 발생)
침입자로 인한 온도나 기류변화 감지
내부 공간감지를 위해 가장 많이 사용
장애물에 취약
유리창으로 보호되고 있는 내부에서 사용 가능

마이크로웨이브 감지기

송신기 + 수신기 구조
빔이 차단되면 경보 발생

유리파손 감지기

유리에 부착
유리가 깨질 때 발생하는 탄성파나 진동 감지
음파를 감지하기도 함

진동 감지기

수동형 감지기
압전효과
범인의 움직임으로 생기는 진동 감지
바람이 심하거나 하면 오경보 발생할 수 있음

셔터 감지기

셔터나 대형문의 열림 감지
자석 감지기나 적외선 감지기 사용

울타리 감지기

장력 감지기

장력 감지소자 사용

광케이블 감지기

케이블의 심선 한쪽에서 투광, 수광 량을 추적
날씨, 동식물에 의한 장애 적음
낙뢰에 강함
수명이 긺
설치 용이
근데 비쌈.. 원래 좋은건 비싸

광망 감지기

광섬유로 그물을 만든다
광섬유의 심선에 적외선 레이저 입사
담장 넘어가다가 광섬유 끊으면 감지

전계 감지기

울타리에 감지전선 고정
전계가 변하면 감지전선의 전류가 변하면서 경보 발생
설치 용이
환경변화에 강함
동식물에 의한 오경보 많음 .. 이놈들이 왔다갔다 하면서 건드나봄
낙뢰에 약함 전기류라 그런듯?

정전용량 감지기

감지전선 설치
울타리와는 절연상태 - 정전용량이 형성됨
사람접근하면 정전용량이 바뀌기 때문에 이를 감지

지진동 감지기

지진동에 의한 음향 감지

압력 감지기

지하에 액체가 든 가소성 관을 매설
사람 지나가면 압력을 감지

분극케이블 감지기

요점은.. 침입에 의해 울타리가 흔들리면 경보신호 발생

화재감지기

열감지기

차동식 감지기

주위 온도의 상승률이 일정 수준 이상 되는걸 감지
분당 7~8도

정온식 감지기

주위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 되는 것을 감지

보상식 감지기

차동식 + 정온식
온도 급격히 올라가면 차동식으로 작동
온도가 완만히 올라가더라도 일정온도 넘으면 정온식으로 작동

연기감지기

광전식

내부에 발광소자랑 수광소자 있음
연기에 의해서 광이 산란되거나 감쇠되는거 감지

이온식

미량의 방사성 물질로 공기를 이온화
이온 전류의 변화 감지

화염감지기

적외선식 감지기

화염에 포함된 2.5~2.8μm, 4.2~4.5μm 범위의 적외선 감지

자외선식 감지기

화염에 포함된 0.17~0.3μm, 범위의 자외선 감지

금속탐지기

금속탐지기는 문형과 휴대용이 있음
둘다 송신코일과 수신코일에 유도전류가 흐름
금속물체가 그 사이를 지나가면 유도전류가 바뀌는걸 감지함

문형 금속탐지기 사용 시 주의사항

  1. 엘리베이터와 7m 이상 이격
  2. 고주파 무전기의 사용은 7m 이상 이격
  3. 고압전류와 5m 이상 이격
  4. 2대 이상 설치 시 5m 이상 이격
  5. 진공청소기 사용 금지
  6. 충격을 가하지 말것

안전재해 관리이론

재해 발생 형태의 종류

  1. 단순자극형(집중형) << 여러개가 그냥 한번에 발생
    여러가지 원인이 상호작용하여 순간적으로 재해 발생
    재해요인이 일시적으로 집중됨
  2. 연쇄형(사슬형) << 하나로 인해 다른게 발생
    하나의 요인이 원인이 되어 연쇄적으로 발생
    단순연쇄형, 복합연쇄형
  3. 복합형(혼합형)
    단순자극형 + 연쇄형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

사고는 단계별 선행요인에 의해 연쇄적으로 발생한다
중간과정 제거해서 사고를 방지하자

  1. 사회적 환경 및 유전적 요소 (선천적 결함)
  2. 개인적인 결함 (인간의 결함)
  3. 불안전한 행동 및 상태 (인적 원인과 물적 원인)
  4. 사고
  5. 재해

제 3요인 배제가 중점임 << 이게 직접원인

1:29:300
대형사고 1건
소형사고 29회
이상징후 300회

버드의 수정 도미노 이론

재해의 직접적인 원인인 '불안전한 행동 및 상태'를 유발하는건 4M임

  • Men (error 일으키는 인간 요인)
  • Machine (기계 설비의 결함)
  • Media (작업의 정보, 방법, 환경 등)
  • Management (관리상의 요인)

불안전한 행동 및 상태를 유발하는 기본 원인에 집중!

사고 전엔 항상 전조 증상이 있음

  1. 제어 부족 (관리 부재)
  2. 기본 원인 (개인적, 과업과 관련된 요인)
  3. 직접 원인 (4M)
  4. 사고
  5. 상해

1:10:30:600
중상 1건
경상 10건
무상해 사고 30건
무상해 무사고 고장 600건

리즌의 스위스 치즈 이론

연속된 휴먼 에러로 사고가 발생함
오래전부터 전조가 있음
치즈 구멍마냥 빈틈이 있음..
휴먼에러 방지하삼

재해조사 방법

파레토

분류 항목을 큰 순서대로 나열
도표화

특성 요인도

특성-요인 관계를 도표로 어골상으로 나타냄

클로즈 분석

2개 이상의 문제 간 관계를 분석
표로 표시하고 그림으로 교차 작성

관리도

추이를 파악해 월별 관리선 결정

전기안전재해

단락 및 혼촉에 의한 재해방지

제 2종 접지 공사
금속체의 혼촉방지판
누전전류는 최대 공급전류의 1/2000 을 넘으면 안됨
보호접지 의무화

누전에 의한 재해방지

기능절연, 보호절연 필요
누전차단기 설치
비접지식 전로 채용 (혼촉방지판, 절연변압기)
보호접지

스파크에 의한 재해방지

목재나 벽 또는 천장으로부터 고압용은 1m 이상, 특고압용은 2m 이상 이격
불연성 케이스, 통형 퓨즈
방폭형 개폐기
내화벽

전열기에 의한 재해방지

전열기 주변 30~50cm, 상방으로부터 1~1.5m 내에는 가연성 물질 두지마삼

정전기에 의한 재해방지

접지극으로 동판 매설
액체의 경우 유속을 줄이고
습도를 70% 이상으로 하던가
제전기 사용

감전사고에 의한 재해방지

이건 뭐 알아서 ...

화재의 종류

A급 화재

= 일반화재
일반 가연물

B급 화재

= 유류화재
가연성 액체

C급 화재

= 전기화재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의 전기기구
전류차단하면 A나 B급 화재 됨

D급 화재

= 금속화재
가연성 금속

RFID

RF카드

출입통제 이외에 교통, 주차, 신분확인, 근태관리 여러 분야에 적용
요즘 점점 범위 넓어지고 있음
비교적 원거리에서도 사용 가능
배터리 수명에 따라 카드의 사용이 제한됨
가격 비쌈..

RFID 현황

  • 13.56MHz - 출입통제, 대여물품 관리, 교통카드, 도서관리
  • 433.92MHz - 컨테이너 위치추적 및 관리
  • 2.45GHz - 지폐, 여권 위조방지
  • 900MHz - 유통물류, 자동통행료 징수

침입감지시스템의 구성

제어부, 전원부, 조작부, 출력부, 경보수신창치 로 구성

제어부

센서의 작용 통제
감지기의 작동 통제
템퍼회로와 침입자에 의한 선 절단 감지
조작부나 출력부에서 조작된 각종 신호 제어
경보신호 제어
센서 작동시간 통제

전원부

주장치가 요구하는 전원 공급
센서나 경보기 등을 작동시키는 전원 공급

조작부

경비를 개시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조작
설치자가 주장치의 기능을 설정하는 부분

출력부

현장 경보장치 작동
통신장치로 경보신호 전달

경보수신장치

소리나 빛을 이용하거나 모니터에 문자 형태로 정보 보여줌

CCTV

고체촬상소자

  • CCD
    화질이 우수하고 감도가 높음
  • FOVEON
    최근 개발되어 고가
  • 촬상관
    과거에 사용되던 진공관식 촬상소자
  • MOS
    화질과 감도는 떨어지지만 소형화 가능
    소비전력 낮음
    가격저렴

CCTV 영상신호 전송매체

동축케이블 -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영상신호 전송
광케이블 - 에너지 손실이 적어 장거리 송신과 다중통신 가능, 전자유도나 낙뢰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음

CCTV 카메라에서 사용되는 렌즈

  • C마운트 렌즈
    결합부-촬상소자 거리 17.526m
  • CS마운트 렌즈
    결합부-촬상소자 거리 12.5mm

Human Error

  • 명령에러
    직무를 하려고 해도 필요한 정보, 물건, 에너지 부족으로 실수 발생
  • 생략 에러
    필요한 직무 또는 단계를 수행하지 않음
  • 실행 에러
    직무의 불확실한 수행
  • 지연 에러
    계획된 시간 내에 직무수행 실패
    너무 이르거나 너무 늦거나

재해예방원칙

  • 예방가능의 원칙
    재해의 원인을 제거하여 사고의 발생 예방 가능
  • 원인계기의 원칙
    재해발생에는 반드시 원인이 있음
  • 손실우연의 법칙
    재해손실은 우연성에 의해 결정됨
  • 대책선정의 원칙
    재해예방이 가능한 안전대책은 반드시 존재함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