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 실제로 컴퓨터끼리는 IP주소를 사용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김아름·2021년 12월 7일
0

네트워크 기초

목록 보기
4/15

🚩 3계층의 기능

1. 3계층에서 하는일

  • 다른네트워크 대역 즉, 멀리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네트워크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제어하는 일 담당
  • LAN과 LAN을 연결
  • 발신에서 착신까지의 패킷의 경로를 제어
  • 3계층의 대표적인 장비가 라우터인데 LAN과 LAN을 연결하려면 이것이 필요

2. 3계층에서 쓰는 주소

  • WAN에서 통신할 때 사용하는 IP주소
  • 3계층에서 사용
  • 필드가 총 4개이고 점(.)으로 구분하고 10진수로 씀 - 총 4바이트
    cf) MAC주소는 총 6개의 필드이고 - or :로 구분하고 - 총 6바이트
IP주소MAC주소
3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2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필드 4개필드 6개
점( . )으로 구분- or : 로 구분
4바이트6바이트

  • IPv4 주소 같은 경우에는 멀리있는 곳이랑 통신을 할때 IP주소만 있는게 아니라 추가적으로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가 추가적으로 필요함

2. 3계층 프로토콜

(1) IP주소를 이용해 MAC주소를 알아오는 ARP 프로토콜

(2) WAN에서 통신할 때 사용하는 IPv4 프로토콜

  • 지금현재 버전4를 쓰고있음 10전부터도 계속해서 IPv6로 넘어가려 하고있는데 아직 못넘어감. IPv6 쓰는곳도 있긴 함
  • version을 6로 바꾼다고 IPv6가 되는것이 아니라 구조가 아예 다름

(3) 서로가 통신되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ICMP 프로토콜



🚩 일반적인 IP주소

1. 낭비가 심한 Classful IP주소

  • 맨처음 나왔을 땐 클래스 별로 IP주소를 나눠서 사용함
  •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정해져 있음
  • IP주소는 필드가 총 4개이고 점(.)으로 구분하고 10진수로 씀 - 총 4byte
  • 1byte = 8bit
  • 8bit는 2진수 8개
  • 2진수 8개로 표현할수 있는 범위 ( 00000000 ~ 11111111 --> 10진수로 0 ~ 255 )


🔔 A클래스

  • 빨간색은 네트워크 대역을 구분하는데 사용하고,
    파란색은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에 속한 컴퓨터를 구분하는데 사용
  • 128개의 네트워크 대역이 있고,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에는 2의 24승 만큼의 컴퓨터를 구분O ( 16777216대 )

🔔 B클래스

  •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 안에서 2의 16승 만큼의 컴퓨터 구분O ( 65536대 )

🔔 C클래스

  • 많은 네트워크 대역으로 구분할수 있게 됨.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던 클래스.
  •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 안에서 256대의 컴퓨터 구분O

🔔 D클래스

  • 멀티캐스트를 위해 남겨둔 주소

🔔 E클래스

  • 실험용으로 남겨둔 주소

2. 낭비되지 않도록 아껴쓰는 Classless IP주소

  • classful하게 썼더니 IP주소가 부족해서 서브넷 마스크를 도입
  • 어디까지가 네트워크대역을 구분을 하는 곳이고 그 뒤에는 그 네트워크 대역에 속해있는 컴퓨터들을 구분하는 값인지 구분하기 시작함
  • 원래는 IP주소에서 . . . .으로만 구분을 했었다면, 이제는 서브넷 마스크로 구분

😺 서브넷 마스크

  • 클래스풀한 네트워크 대역을 나눠주는데 사용하는 값
  •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대역을 구분하는데 사용하고 어디서부터 호스트를 구분하는데 사용하는지 지정
  • 2진수로 표기했을 때 1로 시작, 1과 1사이에는 0이 올수없다.
  • 1이 끝나고 0이나오면 그 뒤에는 0으로만 되어있다.
  • 1하고 0이 바뀌는 빨간색 세로줄까지 네트워크 대역을 구분하는 값
  • 파란색부분은 빨간색 네트워크 대역에 속할수있는 컴퓨터 대수 ( 2의 6승 = 64대 )

3. 사설IP와 공인IP ( 공인IP 1개당 2^32개의 사설IP )

  • 서브넷 마스크 도입 후로도 점점 IP주소가 부족해져서 도입
  • 사설IP와 공인IP는 현재 사용하고있는 IPv4의 개념임
    ( classless한 IP와 이것을 같이 사용 )

😺 공인IP

  • 인터넷 네트워크 통신망에서 통신할 때 사용하는 IP주소

😺 사설IP

  •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사용하는 IP주소

  • 사설IP를 사용하고 있는 장비들이 외부와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 무조건 공인IP로 바꿔서 통신을 함
  • 집에서 장비들끼리는 사설IP를 쓰고, 네이버랑 통신할 땐 공인IP 사용
  • 같은 강의실, 회사에서 네이버로 IP주소 찾아보면 다 같게 나옴
  • 외부에서 볼땐 공유기에 할당된 IP로만 통신함. 여러개의 컴퓨터가 구분되지않음
  • 만약 네이버가 웹툰을 보내줬으면 웹툰을 요청한 장비는 공유기가 찾아줌
  • 내가 컴퓨터로 네이버에게 요청을 공유기를 통해 보내면 공유기는 공인IP로 네이버에게 요청을 하고 공인IP로 응답을 받아서 공유기가 내 IP를 찾아서 컴퓨터로 보내줌
  • 사설IP에서 공인IP로 바꿔주는걸 NAT라고 함

  • 실제 인터넷 세상에서는 공인IP로만 통신
  • 외부 네트워크 대역에서는 사설IP 대역이 보이지 않음



🚩 특수한 IP주소

1. .0.0.0

  • 쉽게 설명해서, 나머지 모든 IP

2. 127.x.x.x

  • 자기 자신을 뜻하는 주소
  • 만약에 네트워크 안되면 내IP부터 통신 해봄

3. 게이트웨이 주소

  • 어딘가로 가려면 일단 여기로
  • 외부세상과 통하는 문
  • 일반적으로 공유기의 IP임
  • 쓸수있는 IP중 가장 작거나 큰 IP를 사용함



👻 실습

1. 내 PC의 IP주소 알아보기

  • cmd 켜서 ipconfig /all 명령어 치기
  • IPv4 주소가 나옴 == 사설IP

2. 네이버가 보는 내 IP주소 알아보기

  • 네이버 검색창에 '내 IP 주소' 라고 검색할 때 나오는 IP == 공인IP



🏈 네트워크 기초

https://www.youtube.com/watch?v=s5kIGnaNFvM&list=PL0d8NnikouEWcF1jJueLdjRIC4HsUlULi&index=6

profile
쿄쿄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