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v 태그를 하나 만들어준다.특별할 것 없는 디자인을 해준뒤css 가상 선택자를 통해 요소를 하나 만들어주고 처음 scale을 0 으로 만들어주고 transition을 설정해 줬다마우스를 올렸을때 scale을 1로 갖게 설정 해줬다.
코딩하기 좋은 날씨였다. 오늘도 어김없이 아침일찍 일어나서 비틀비틀거리고 떠지지않는 눈을 부비적거리며 입에는 대충짠 치약을 얹은 칫솔을 집어넣고 억지로억지로 잠을 깨웠다.오늘의 아침 출근길은 평소와 조금 달랐다 서울역까지 가는 급행을 타고 갔는데 군포역에서 서울역까지
하루회고 오늘은 무엇을 했냐 출근길부터 사람들로 붐비는 지하철에서 앉아서 출근하지는 못했지만 손잡이가있는위치에 잘 서서가서 사람들에게 부대끼면서 가는 상황은 모면했다. 오늘은 집에서 조금 늦게 나오는바람에 회사 출근시간에 딱 맞춰서 도착했다. 아침밥으로 챙겨간 누
😎 저 세가지 준비물로 만들기 아주 좋고 만만한 투두 리스트, 제에에가 한번 만들어 보겠습니다.우선 제일 먼저 store를 생성해주는게 좋지않을까? 네이버 클라우드에 사진을 저장하려면 네이버 클라우드 계정이 있어야지;계정 생성 완료초기 상태라고 함은 기존의 클래스형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누구라도 하나씩은 만들어봤을 todoList javascript를 처음 배울 때 부터 react, react-native는 진행중이고 이번에 redux를 공부하면서 세번째로 만들어 보는 todoList다. 뭘 공부할 때 마다 새로 만드냐? 하나
함수형 컴포넌트는 위코드 부트캠프 과정중 2차프로젝트 진행하다가 처음 만났던녀석입니다. 그 당시 클래스형 컴포넌트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프로젝트 결과물을 만들어내기 급급했던 나로써는 새로 배운개념을 적용할 여유가 없었습니다.그러한 이유를 핑계삼아 뒤늦게 함수형 컴포넌트
⏳wecode 이전에 21살 더운여름 군대에 입대했다. 몸은 군대안에 머무른채로 머릿속으로만 오늘의 나를 많이 생각하곤 했던것 같다. 군인이라는 직업이 생각보다 몸에 잘 맞는것 같아서 육군3사관학교 편입을 준비해보기도 했었다. 그러다 정말 군생활을 하면 할수록 그 항
\-프로젝트 설명wecode 14기 기업 협업 - 브랜디 (서비스, 어드민) 클론 코딩서비스 : 실제 유저가 사이트에 들어와 상품을 보고 구매를 진행하는 기능 📌어드민 : 셀러의 상품을 등록하고, 결제완료 후의 과정을 진행하는 기능(📌 내가 진행한 부분)\-프로젝트
처음 구현해보는 구글 소셜 로그인... 위코드 프로젝트도 아니고 기업협업을 나가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에서 구현해야하는 기능이기에 처음 하는것임에도 딱히 물어볼 곳이 마땅치 않았다... 그래서 열심히 검색을해도 보통 백엔드 개발입장에서 많이 설명이 되어 있었다...사실
Vue CLI 를 이용하여 복잡합 웹팩을 이용하지 않고 기본 세팅이 완료되어 있는 상태로 개발을 시작 할 수 있다.공부할 때 사용했던 파일이라 기본적인 세팅이 정확이 이렇다긴 어렵지만 기본적으로 App.Vue를 거쳐 Index.html를 통해 내용이 화면에 랜더된다.
이번에는 my real trip 홈페이지를 만들어보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간단해 보이는 페이지 속, 숨어있는 화면들, 조건마다 바뀌는 화면이 생각지도 못한곳에서 툭툭 튀어나와몇번이고 레이아웃 작업을 다시했다..2020-11-30 ~ 2020-12-1112일간 내 영혼
여기 아주 기본적인 이벤트가 하나 있다. 아주 기본적이면서 우리가 웹에서 스크롤 다음으로 많이 하는 클릭 이벤트다.작성 할 때에는 이벤트종류 = 실행 할 함수 를 써주게 된다. 위의 함수는위 사진의 WEB 이라는 글자로 된 링크를 '클릭' 하면 경고창을 띄우는 함수다.
이때까진 App.js에서 이벤트를 주고싶은 태그안에 직접 이벤트를 작성하고 함수를 할당 했다.하지만 실전에서 우리가 사용하게 될 모습은 조금 다르다.이벤트를 주고싶은 컴포넌트는 말그대로 컴포넌트 형식으로 다른 파일에 작성되어 있을 것이며,우린 한 페이지 안에 다른페이지
1차 프로젝트를 하루 앞둔 15일 일요일, 나는 어떤 마음으로 프로젝트에 임하기로 했을까..우리팀의 우리의집은 Burning House...팀명도 HOT(사실 house of tommorow 내일의 집인건 비밀) (가장 깔끔한 모습이였던 우리팀)사실 이번 14기에는,프
이런 정보를 가진 객체가 있고, 이런 정보를 map method없이 하나씩 화면에 나타내려고 한다면, 하루종일 코드를 치고 있어야 할걸?그런 부질없는 노력을 줄이기 위한 코드가 바로 map method이다.위 코드를 보면 foodIlike 라는 이름을 가진 객체를 ma
TeamProject.1 | 오늘의집 클론코딩 팀원 FrontEnd : 안상혁(pm), 이승윤, 공주민 BackEnd : 강두연, 김민서, 김기용 프로젝트 기간 2020.11.16 (월) ~ 2020.11.27 (금) Goal Team >1. 네비게이션 바
여기 아주 기본적인 이벤트가 하나 있다. 아주 기본적이면서 우리가 웹에서 스크롤 다음으로 많이 하는 클릭 이벤트다.작성 할 때에는 이벤트종류 = 실행 할 함수 를 써주게 된다. 위의 함수는위 사진의 WEB 이라는 글자로 된 링크를 '클릭' 하면 경고창을 띄우는 함수다.
event 이때까지 state 에 저장된값에 따라 component의 상태를 바꾸거나, props를 통해 자식 component에게 state값을 전달하는 방식을 알아보았다.. 이번엔 특정조건에 맞춰 state값이 변경되면 결과물이 바뀌는 과정을 알아보자. 이
state는 component 내부의 값을 바꾸는데 사용된다. 앞에서봤던것 처럼 부모 컴포넌트의 정보를 자식 컴포넌트에 보내기 위해선, 즉, 자식 컴포넌트의 내용을 부모컴포넌트가 준 내용으로 바꾸려면 props를 이용한다.그리고 그 component의 특정부분의 값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