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kubernetes.io 사이트에 들어가면 하단에 Kubernetes Features가 보이는데 => 365 No Downtime 지양!!! a. Automated rollouts and rollbacks (자동 변경 취소/되돌림) b. Sto
Ngix를 통해서 HTTP 서버를 컨테이터에서 운영하고 외부에서 Firefox 브라우저로 들어가기 pureFTPD(Or wuuFTPD)를 컨테이너에서 운영하고 외부에서 들어가서 FileZilla라는 GUI로 들어가서 작업하기 MySQL에서 디폴트로 설정해주는 데
클라우드에서 사용되는 hadoop은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HDFS: 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빠르게 저장하고 사용하게 해준다. Hadoop과 관련된 여러 부가적인 서비스들을 묶어서 Hadoop EcoSystem이라
현재 sudo su하고 ubuntu 패스워드를 넣고 root권한에서 rm -r /bar/www/owncloud 해서 기존 것을 지우고 콘솔에서 wget https://ftp.icm.edu.pl/packages/owncloud/owncloud-10.4.0.ta
이제 HDFS(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를 사용해서 로컬 호스트(DataNode)에서 파일을 Hadoop 클라우드(NameNode)로 올리고, 역으로 Hadoop 클라우드에 있는 데이터를 로컬 호스트로 옮기는 작업을 해본다. 이어서
hadoop은 하나의 머신이 모든 기능(namenode, datanode, ..등)을 다 해주는 싱글 모드와 각 기능별로 여러 머신이 참여하는 멀티 모드가 있따. 클라우드에서는 멀티 모드를 사용하지만 싱글 모드에서 멀티 모드로 만들어주는 것이 모든 설정에 일관성이 있
Hadoop으로 클라우드를 구성하려면 Hadoop 멀티모드로 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이 멀티모드는 매우 강력한 물리적 NameMode 서버가 필요하다.(수직적 개념의 호스트) 마스터인 NameMode, secondaryNameNode, 그리고 슬레이브인 slave1,
Git에서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들을 간단히 프로 정리했다. 명령어 역할 add 로컬 자료를 웹으로 올리기 위해서 파일을 추가해준다(인덱스로 부른다). Icomment 해당 파일의 버전이나 코멘트를 적어준다. commit 변경이 실행되게 해주는 execute와 같은
Cloud는 서버나 각 노드들의 물리적 위치와 무관하게 언제 어디서나 노드들과 접속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구축한 것을 말한다. 일종의 유 비쿼터스(Ubiquitous)로 볼 수 있다. 웹상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Web Hard와 웹상의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나 각종 응용
NTFS 볼륨이나 AD 도메인 내의 모든 개체는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소유권은 기본적으로 해당 파일/폴더를 생성한 사람이 소유자가 된다. 소유자는 해당 개체에 대해서 어떻게 사용 권한을 설정할지, 누구에게 권한을 위임할지 등을 정할 수 있다. 소유자는 소유권을 타인에
Administrator의 패스워드를 암호화해서 USB 등 다른 저장소에 저장해두고, 로그인할 떄 이 키로 로그인 해본다. 관리자 패스워드를 기억하고 입력하는 대신 USB 등 별도의 저장소에 넣어두고 그때그때 변경해서 로그인하는 방식이다. 패스워드가 OTP(One T
GP(Group Policy) 관리자는 GP를 통해서 AD내의 사용자나 컴퓨터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어느 정책을 부여할 수 있는데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만 지정해서 사용을 제한하거나, 로그온 시 바탕화면 등이 일괄되게 적용되게 하거나, 제어판을 사용자들이 조작하지 못하게
Windows Server에서의 그룹 적용 순서는 a. 그룹을 생성하고 b. 그룹에 권한(읽기, 쓰기, 실행)을 주고, c. 해당 권한을 가져야 하는 사용자들을 그룹에 넣는다. => 이렇게 하면 해당 사용자들은 해당 그룹에 주어진 권한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d
Windows에서 분산되어 있는 리소스(도구: snap-in)를 한 곳에서 관리하게 해주는 \*콘솔이다.\*콘솔 : 콘솔이란 대개 디스플레이 모니터와 키보드(또는 입력이 가능한 다른 장치)가 조합된 장치를 말한다. 콘솔을 다른 말로는 터미널이라고 부른다. 콘솔이라는 용
MS Mail eXchange를 설치해서 Windows 도메인에서 메일서버로 활용할 수 있다. MS eXchanger 서버의 IOS를 구할 수 없으면 hMailServer 프로그램을 무료로 다운받아서 사용해볼 수도 있다. 파일을 다운받아서 디폴트로 설치한 뒤,
들어가기 전..흔히 NBP나 AWS같은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서버를 생성해보면 '인증키'나 '키 페어'라는 것을 생성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생성하면 pem이라는 낯선 형식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게 되는데, 이는 서버 접속에 반드시 필요한 파일이다. 이 파일은 우리가 생
'파일 전송 프로토콜'기본적으로 '프르토콜'은 전자기기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규약을 의미한다. FTP는 TCP/IP 네트워크(인터넷)상의 장치가 파일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규약이다. 인터넷을 둘러볼 때는 HTTP를 사용하고, 인스턴트 메시지를 주고 받을 때
name server 관련한 조회를 할 수 있는 명령어 서버의 네트워크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용도로도 사용함. 링크텍스트nslookup 명령어 뒤에 조회하려는 도메인을 지정ex) $ nslookup google.comre)Server : 192.168.152
DNS(Domain name System)ftp (ftp는 마지막에 .을 붙인다..?)<DNS 관리자 영역>정방향 조회 영역역방햐 조회 영역조건부 전달자
현재 VMware가 가상머신들을 묶어주는 스위치 기능과 가상머신들이 인터넷으로 나가게 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라우터 기능을 하기 때문에 DNS와 DHCP 서버 역할을 해서 가상머신들에게 IP주소 등을 나눠주고 있다. 하지만 WIN_SER2를 DHCP 서버로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