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pp은 Decentralized Application의 약자로써 탈 중앙화된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앱을 말한다. 탈 중앙화된 플랫폼을 기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기존의 중앙서버가 실시하던 역할을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수행하게 된다. 즉, 데이터들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노드(참여자)들이 복제본을 보관하는 일종의 DB 역할을 수행한다.
Dapp은 사용할 블록체인 기술 내의 프로토콜을 통하여 생성된다. 위 그림에 나와있듯이, Ethereum을 사용한다면 Ethereum Dapp인 식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프로토콜을 통신규약, 방식을 얘기한다. (가장 흔한 예시가 HTTP) 하지만 블록체인에서 말하는 프로토콜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각 노드들을 연결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 | DApp | 기존 App |
---|---|---|
정보저장/보안 | 분산된 개인 네트워크에 저장 | 중앙화 데이터베이스 저장, 로컬 컴퓨터 이용 |
데이터 삭제 | 데이터나 거래는 생성 뒤 삭제 불가 |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 |
정보 투명성 | 공개 후 공공거래 장부에 기록 |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접근 권한 필요 |
가동성 | 일부 블록이 무력화되어도 다른 블록에 동일 정보가 저장되어 영향 X | 서버가 끊기면 정지 |
비용 | 기능 사용을 위해서는 토큰 / 코인 필요 | 무료(일반적으로) |
구동방식 | 스마트 컨트랙트 사용 | 구현된 프로그래밍을 통해 서버와 앱 정보 교환 |
위의 표는 기존에 사용하는 앱과 Dapp과의 차이점을 나열한 표이다.
표 마지막 항목을 보면 스마트 컨트랙트라는 단어가 있는데,
스마트 컨트랙트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다른 인증기관 없이 개인간의 계약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계약이 무조건 이루어지는것은 아니고 특정 조건이 충족되야만 해당 계약이 이행된다.
아예 스마트 컨트랜트에 대한 포스팅을 따로 작성하여 자세히 공부할 예정이다.
장점
단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