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 라이브러리 중에 Chart.js에 대해 알아보면서 차트는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디버깅을 통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3D Dice 프로젝트를 통해 Three.js와 Three.js cannon 3D 물리 엔진 알아보기
Blender 첫 사용기 및 무작정 3D Dice 따라만들기 실습, 그리고 나서 Three.js + R3F 에서 로드해서 웹 페이지에 보여주는 부분까지 진행해봤습니다.
이번 사이드 프로젝트는 Blender와 Three.js를 활용한 3D 모델 조작과 관련된 개발을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이를 위해 Three.js와 R3F(React Three Fiber)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사이드 프로젝트로 전역 상태 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생겨서 Recoil을 사용하려다가 Jotai를 사용하게 된 썰. 하지만 조금 익숙하지 않아서 공식 문서를 통해 천천히 읽어봤습니다.
PlanetScale를 사용했을 때 Prisma Schema 작성 시 주의사항과 기본적인 Prisma Schema 작성 방법, 간단한 예시를 알아봤습니다.
최근에 Next.js 13에서 새로운 Routes 기능이 생겼다는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Next.js 13.3 버전에서 새로 생긴 Parallel Routes, Intercepting Routes를 소개합니다.
공유 UI 컴포넌트를 가져다가 사용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이에 대해 알아보고 Radix-ui와 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shadcn/ui 를 선택한 이유와 간단한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Next.js를 기반으로 해서 Prisma, PlanetScale, NextAuth를 사용해서 간단하게 인증 처리를 구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편입니다.
Next.js를 기반으로 해서 Prisma, PlanetScale, NextAuth를 사용해서 간단하게 인증 처리를 구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use client"는 알겠는데 "use server"는 또 무엇일까요? 알고 보니 Next.js 13.4 Server Actions 라는 새로 생긴 기능이었습니다. 허허... 아직 알파 버전이라서 실험적인 기능입니다.
RSC(React Server Component) 는 도대체 뭘까? 2편으로 돌아왔습니다. 쉽지 않네요. 하하...
7월 첫 포스팅에 대한 주제로 RSC(React Server Component)를 정했습니다. RSC에 대해 공부하고 있지만, 도대체 이 녀석을 뭘까? 지금도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조금이라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Next.js 13에서 React Query SSR 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 이왕 하는김에 React Query가 무엇이고 왜 사용하는지 간단하게 알아보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