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는 이유props 문법 귀찮을 때 씁니다.Redux를 설치하면 store.js 에 state를 보관한다.그래서 꺼내서 쓰면 된다.react-redux, redux 설치 후 import를 해준다.그리고 필요할 때 component에서 store에 있던 state를 쓰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git remote add origin 주소git add .git commit -m "test" git push origin master
취뽀를 하였다................출근전 react 공부를 다시 하고자 한다............핳....... node.js 를 설치하고...... npm install -g create-react-app 을 설치해준다......!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려면
이번에는 회원가입 유효성 검사를 진행해보았다. 로그인에서 사용해줬던 yup,react-hook-form,@hookform/resolvers/yup 을 사용했다. 로그인과 다른점은 회원가입시 입력받아야할 값이 이름과 비밀번호 확인체크가 추가되어서 두가지를 추가시켜주었다.
https://www.docker.com/get-started 들어가서 설치를 해준다. 설치를 하고 실행해보면 WSL2를 설치해달라고한다.https://wslstorestorage.blob.core.windows.net/wslblob/wsl_updat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wappalyzer/gppongmhjkpfnbhagpmjfkannfbllamg?hl=ko Wappalyzer 을 설치해주면 홈페이지들이 무엇으로 개발되었는지 볼 수 있다!
yarn으로 쭉 설치하다가 npm으로 설치했을 때 오류가 났던 경험이 있어서 NPM과 YARN의 차이점을 살펴보려고한다. npm은 여러 패키지를 설치할 때, 패키지가 완전히 설치 될 때까지 기다린 후 다른 패키치를 설치하는 반면 yarn은 여러 패키지를 설치할 때 병
yarn add dompurify yarn add -D @types/dompurify 설치 후에 해서 사용해주면된다~! 실습 코드
JWT 토큰 2개 발급\-> accessToken,refreshTokencookie에 저장: refreshToken secure: true <-https 에서만 작동함 s의 약자가 secure임.httpOnly: true <-javascript로 접근
https://www.npmjs.com/package/moment 들어가서 사용해주면된다.......특정 시간이 발생할 때는 크론탭을 사용한다..
일반결제 : 카드결제, 계좌이체, 무통장입금(가상계좌)정기결제 : 카드결제!https://www.iamport.kr/관리자 페이지 들어가서https://admin.iamport.kr/settings 시스템 설정으로 들어간다사용하는 API는 https&
일단 터미널에 yup을 설치해준다. yarn add yup 그리고 hook과 yup을 연결시켜줄 라이브러리도 설치해준다. yarn add @hookform/resolvers yup 잘뜬당..
https://react-hook-form.com/ 에 들어가준다. 제어컴포넌트는 state에 저장된 것을 사용한다. 안점함. 비제어컴포넌트는 state랑은 상관없고 input만 바뀐다. 실제 필요할 때 버튼을 클릭할 때 꺼내오는 것이다. 성능이 더 빠름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