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웹 아키텍처 스타일 중 하나로, 분산 시스템에서 리소스를 관리하고 상호 작용하기 위한 원칙과 규칙을 제공합니다. RESTful API는 이러한 원칙을 따라 설계된 웹 서비스 API를 의미하며, 클라이
SOP(Same-Origin Policy)와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는 웹 브라우저에서 웹 페이지 간의 보안 및 데이터 공유를 제어하기 위한 메커니즘입니다. 이들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을 강화하고 다른 도메인 간의 데이터 교환을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상태 및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메커니즘입니다. 둘 다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사용자를 식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그러나 작동 방식과 사용 목적에서 차이가 있습니다.쿠키는 클라이언트 측에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를 식별하고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한 숫자입니다. IP 주소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통신 경로를 설정하고, 데이터 패킷을 목적지로 전달하기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의 중요한 프로토콜 중 하나로, 신뢰성 있고 연결 지향적인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입니다. TCP는 전송 계층에서 작동하며, 데이터를 세그먼트로 나누어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UDP(User Datagram Protocol)는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에서 사용되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 중 하나로, 데이터를 비연결형 방식으로 전송하는 프로토콜입니다. UDP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함께 전송 계층의 두 가지
DNS(Domain Name System)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서비스로,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예: www.example.com)과 컴퓨터가 이해하는 IP 주소(예: 192.0.2.1)를 매핑하는 시스템입니다. DNS는 사용자가 도메인 이름을 입
HTTPS(HTTPS://)는 HTTP 프로토콜의 보안 버전으로,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의 약자입니다. HTTPS는 데이터의 안전한 전송과 사용자의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SSL(Secure Socket Layer)
HTTP 프로토콜은 HyperText Transfer Protocol(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의 약어로, 인터넷 상에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규약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요청과 응답 메시지를 교환하
컴퓨터 네트워크는 서로 연결된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구조를 의미합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랜(LAN, Local Area Network)이나 와이파이를 사용하여 가까이 있는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부터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인
jenkins에 대해 알아보려고 실습하는 중.war파일을 기존 tomcat서버에 배포해보려 했다.https://tomcat.apache.org/ 에서 톰캣 9.x버전을 다운로드 받았다.내 host OS는 윈도우라서 installer를 다운받아도 되지만 zip을
자바에서 보통 List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Arrays.asList(array)를 사용합니다.Java 9 버전 부터는 List.of(array)라는 새로운 팩토리 메소드가 있습니다.이 둘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 어떤걸 사용하면 될까 ?라는 고민을 시작으로 글을 작성했
이미지는 Docker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다른 하나는 "컨테이너").이미지는 컨테이너를 위한 blueprint 또는 템플릿이다. 이미지는 읽기 전용이며, 응용 프로그램과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환경(운영 체제, 런타임, 도구 등)을 포함한다.이미지 자체는 실행
도커는 컨테이너 기술이다. 컨테이너를 만들고 관리하는 도구를 도커라고 보면 된다.컨테이너는 소프트웨어의 표준화된 단위이다. 우리가 짠 코드와 코드 실행에 필요한 dependencies의 묶음이다.같은 컨테이너는 완전히 똑같은 application을 실행하고 같은 실행
Spring Data JPA에서 페이지네이션을 쉽게 도와준다.이 기능을 이용해 내가 원하는 커스텀 어노테이션을 만들어봤다.메소드 단위로 사용하기 위해 @Target(ElementType.METHOD)을 선언했다.런타임까지 사용할 것이기에 @Retention(Retent
이전까지 스프링 부트 3.0 이하의 버전으로 프로젝트를 만들었다.그런데 2023년 6월 21일 기준으로 3.1.0이 가장 최신 버전이고 2점대 버전이 곧 없어질 것 같아 오늘 토이 프로젝트는 3.1.0 버전을 택했다.처음 빌드를 진행했을 때 위와 같은 오류가 나와 머리
스프링 데이터 JPA에서 엔티티를 저장하는 방법을 잘 보자.JpaRepository 인터페이스 구현체 중에 SimpleJpaRepository 클래스를 찾아가보자.구현 메소드 중에 save를 보자.(인텔리제이 단축키 Ctrl+F12)내용을 보면 엔티티의 정보를 분석하여
게시글에 좋아요 기능을 추가했다.한 회원이 여러 게시글에 좋아요를 추가할 수 있다.반대로한 게시글은 여러 회원들로부터 좋아요를 받을 수 있다.즉, 게시글의 필드에 좋아요를 추가한다면 회원과 게시글 사이에 다대다 N:M관계가 생긴다.따라서 M:N을 회원과 게시글 사이에
공유키 암호화 방식으로 RSA에 대해 알아봤고 이번 시간에는 3가지 다름 공유키 암호화 방식에 대해 알아보자.Diffie-Hellman key exchangeElgamal cryptographic systemElliptic Curve Cryptography배경으로 이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