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18일차 네트워크 정적라우팅과 디폴트 라우트

유동우·2022년 10월 16일
1

■ Static Routing : 정적 라우팅 =>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사용.

- 관리자가 직접 경로 입력
- 장점 : 복잡한 계산이 없기 때문에 라우터의 부담이 줄어듬.
		CPU, 메모리 사용량 ↓, 성능 ↑
		라우팅 정보 교환이 없기 때문에 대역폭 절약
		외부에 정보를 알리지 않기 때문에 보안에 유리
- 단점 : 목적지 경로를 지정해야하기에 손이 많이 간다.
		경로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에 관리자가 직접 다시 설정해야 한다.

R(config)#ip route 목적지 network주소 [Subnetmask][next-hop address]

■ 디폴트 라우트 (Default Route)

R(config)#ip route 0.0.0.0 0.0.0.0 [next-hop address]

- 0.0.0.0 0.0.0.0 은 '모든' 네트워크를 뜻하는 말.
- 즉, 어떤 네트워크로 가는 패킷이던지 넥스트 홉 IP로 보내라는 뜻
- 주로 STUB 네트워크에서 사용.			#STUB 네트워크 : 빠져나갈 구멍이 하나인 네트워크
- NAT 구성 시 주로 사용

※ AD (Adminstrative Distance) 값 # 참고: https://itaeheon.tistory.com/34
- 라우터 간의 약속된 '관리자 거리 값'
- [] 값 사이에 앞에있는 값 // 해당 거리 값이 줄어들수록 우선순위는 높아지고 속도 ↑

※ Metric 값
- [] 값 사이에 뒤에있는 값 // 정해진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가는 임의의 단위이며
값의 단위는 프로토콜에따라 달라짐. 즉 목적지까지 가기 위한 '거리 비용'
값이 작을수록 송신하고자 하는 라우터와 가깝고 클수록 멈.
동일 라우팅 프로토콜 내에서 목적지로 가는 경로가 복수 개일때 값이 작을수록 우선순위 ↑

traceroute ip___ 경로확인

profile
클라우드 엔지니어가 되고싶은 클린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