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큐 문제(백준1966번)

이상민·2023년 5월 24일
0

알고리즘

목록 보기
10/128

📖문제

  • 여러분도 알다시피 여러분의 프린터 기기는 여러분이 인쇄하고자 하는 문서를 인쇄 명령을 받은 ‘순서대로’, 즉 먼저 요청된 것을 먼저 인쇄한다. 여러 개의 문서가 쌓인다면 Queue 자료구조에 쌓여서 FIFO - First In First Out - 에 따라 인쇄가 되게 된다. 하지만 상근이는 새로운 프린터기 내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는데, 이 프린터기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 따라 인쇄를 하게 된다.

  • 현재 Queue의 가장 앞에 있는 문서의 ‘중요도’를 확인한다.
    나머지 문서들 중 현재 문서보다 중요도가 높은 문서가 하나라도 있다면, 이 문서를 인쇄하지 않고 Queue의 가장 뒤에 재배치 한다. 그렇지 않다면 바로 인쇄를 한다.
    예를 들어 Queue에 4개의 문서(A B C D)가 있고, 중요도가 2 1 4 3 라면 C를 인쇄하고, 다음으로 D를 인쇄하고 A, B를 인쇄하게 된다.

  • 여러분이 할 일은, 현재 Queue에 있는 문서의 수와 중요도가 주어졌을 때, 어떤 한 문서가 몇 번째로 인쇄되는지 알아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예에서 C문서는 1번째로, A문서는 3번째로 인쇄되게 된다.

📗입력

  • 첫 줄에 테스트케이스의 수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케이스는 두 줄로 이루어져 있다.

  • 테스트케이스의 첫 번째 줄에는 문서의 개수 N(1 ≤ N ≤ 100)과, 몇 번째로 인쇄되었는지 궁금한 문서가 현재 Queue에서 몇 번째에 놓여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수 M(0 ≤ M < N)이 주어진다.

  • 이때 맨 왼쪽은 0번째라고 하자. 두 번째 줄에는 N개 문서의 중요도가 차례대로 주어진다. 중요도는 1 이상 9 이하의 정수이고, 중요도가 같은 문서가 여러 개 있을 수도 있다.

📘출력

  •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문서가 몇 번째로 인쇄되는지 출력한다.

📄내가 작성한 코드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queue1 = deque()
queue2 = deque()
testcase = int(input()) #테스트케이스 갯수

for _ in range(testcase):
    count = 0
    N, M = map(int, input().split())  
    importance = input().split()
    for i in range(N):
        queue1.append(i)
        queue2.append(importance[i])
    for l in range(N):
        for k in range(N):
            for j in range(len(queue2)):
                if queue2[0] < queue2[j]:
                    k1 = queue1.popleft()
                    k2 = queue2.popleft()
                    queue1.append(k1)
                    queue2.append(k2)
                    break
        result = queue1.popleft()
        queue2.popleft()
        count += 1
        if result == M:
            print(count)

👉코드 설명

  • 빠른 처리를 위해 deque를 사용하였다.
  • 문서를 담는 queue1, 중요도를 담는 queue2를 선언하였다.
  • 인쇄장 수를 세는 count를 선언하고, N,M을 입력받는다.
  • queue1에는 0,1,2,3..를 이름으로한 문서를, queue2에는 입력받은 중요도를 넣는다.(queue1,queue2는 같이 넣고 빼서 한쌍처럼 움직이게 하였다.)
  • j for문에서 queue의 맨앞 중요도보다 큰 중요도가 뒤에있는지 하나씩 비교하고 있다면 빼서 뒤로 담고, j for문을 탈출한다.
  • k for문에서는 이 작업을 문서의 갯수만큼 반복하여 문서중 제일 큰수가 제일 앞에 오도록한다.
  • l for문: 중요도 높은 문서가 제일 앞에오는 로직 수행후, 문서를 인쇄(popleft)한다. 인쇄장 수를 증가시키고, 인쇄한 문서가 구하려는 문서와 같다면 그때의 인쇄장수를 출력시킨다.

❗❗Key Point

  • 중요도와 문서를 같이 움직이게 하는 부분이 포인트이다.
    queue에 한쌍으로 넣고 빼고 싶었는데, 방법이 없는건지 내가 모르는건지 일단 queue를 2개 만들어서 동시에 움직이게 하였다.

  • 중요도를 queue안에서 하나씩 비교해서 맨앞에 오도록 해야했다.

    1. 맨앞의 수보다 큰수가 있다면 맨뒤로
    2. 반복하면, 결국 맨앞에 제일 큰수
    3. 맨앞에 수 출력하고, 다시 남은 문서중 맨앞에 큰수가 오도록 반복
  • 인쇄할 때마다 count를 증가시키고, 인쇄한 문서가 M과 같아졌을때 count를 출력

💢막혔던 부분

  • 중요도를 비교하는 부분을 for문 3개를 설정해야해서 굉장히 복잡하고 구현하기 힘들었다.

😭후기

  • 파이썬에는 max라는 함수가 있어서 바로 큐의 제일 큰 값을 찾을수 있다.^.^
  • 블로그니까 욕은 안씀
profile
개린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