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열 변수 초기화할 때 (")나 (') 이용한다.문자열 내에서 (")나 (') 사용하려면 ('\\') 이용한다.출력값문자열 변수에 + 사용시 문자열 더해져 연결된다.문자열 변수를 특정한 양의 정수와 곱할 경우, 문자열이 그 값만큼 여러 번 더해진다.\-문자열에 대해서
사전 자료형은 키와 값 쌍을 데이터로 가진다.이중 변경 불가능한 자료형을 키로 사용할 수 있다.사전 자료형은 해시 테이블 이용하므로 데이터 조회 및 수정을 O(1)시간에 처리할 수 있다.출력값키 데이터 뽑는 key()함수값 데이터 뽑는 values()함수dict_key
input() : 한줄의 문자열을 입력받는 함수map(): 리스트의 모든 원소에 각각 특정한 함수를 적용할 때 사용list(map(int, input().split()))데이터의 개수가 정해져있거나 많지 않다면,a,b,c = map(int, input().split()
조건문의 기본적인 형태 if~elif~else (경우에 따라 elif, else부분은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파이썬에서는 코드의 블록을 들여쓰기로 지정합니다.예시)in 연산자와 not in연산자가 있다.x in 리스트 //리스트 안에 x가 들어가 있을 때 참이다.x
while 조건문 :조건문이 참일때 코드반복예시)for 변수 in 리스트:반복할 코드for문에서 연속적인 값을 차례로 순회할 때는 range() 사용for 변수 in range(시작 값, 끝 값+1)인자를 하나만 넣으면 자동으로 시작 값은 0이 된다예시)
리스트는 대괄호안에 원소를 넣어 초기화하며, 쉼표(,)로 원소를 구분한다.비어있는 리스트를 선언하고자 할 때는 list() 혹은 간단히 \[]를 이용한다.인덱스 값을 입력하여 리스트의 특정한 원소에 접근하는 것을 인덱싱이라고 한다.음의 정수를 넣으면 원소를 거꾸로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