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는 1991년 Linus Torvals가 개발한 운영체제이다. Linux는 Unix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운영체제로 유닉스 클론 운영체제라 할 수 있다.Unix와 마찬가지로 다중 사용자, 다중작업 다중 스레드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운영체제를 의미한다.
또한 Unix가 애초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지향해 설계된 것 처럼 Linux 역시 서버로 작동하는데 최적화 되어있다. 또한 Linux는 자유 소프트 라이센스로 누구나 소스코드를 활용, 수정 및 재 배포가 가능해서 지속적인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진다.
CLI
명령줄 인터페이스(Command-Line Interface, CLI)라고 한다.
GUI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할 때 적용되는 컴퓨터 제어 방식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라고 한다.
CLI 하는 가장 큰 2가지 이유
- AWS에서 리눅스 기능을 사용하기 때문에
- git에서 리눅스를 이용하기에 기능을 알아야한다.
CLI 기본 명령어
pwd: 현재 위치 확인하기
mkdir: 새로운 폴더 생성하기
ls: 특정 폴더에 포함된 파일이나 폴더 확인하기
cd: 폴더에 진입하기
touch: 파일 생성하기
> :실행 결과를 파일로 저장하기
cat: 파일의 내용을 터미널에 출력하기
rm: 폴더나 파일 삭제하기
mv: 폴더나 파일의 이름을 변경, 또는 폴더나 파일의 위치 옮기기
cp: 폴더나 파일을 복사하기
명령어 옵션 -r 과 -f:
r은 recursive의 약자로 특정 행동을 순환적으로 반복한다
f는 force의 약자로 어떤 행위를 강제한다
f 명령어를 사용하면 보호되거나 존재하지 않는 파일도 강제로 삭제할 수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f 명령어를 사용하실 때는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r과 f 명령어를 합쳐 rf 형태로 쓸 수 있습니다.
rm -rf 명령어를 사용하면 민감한 정보를 가진 파일도 무차별적으로 삭제하여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에 대해 주의해야 한다.
HTML,CSS,JS를 다 아는것도 아니지만 배운것들은 최대한 이해할려고 노력했던 상태..
지금은 Linux에 대해서 배웠고, 어제까지만해도 너무 멘붕이왔었다.
처음 배우다보니 용어부터가 낯설어서 용어가 쓰일때마다 헷갈렸었고, 혼자 학습하고 실습해보고 스스로 해보는 시간에 어떤 문제점이 있었냐면 텍스트터미널을 켜서 그 안에서 또 우분투를 켰고 이제 스스로 적혀있는 코드를 입력해 나가면서 해야하는데 그 코드를 터미널에 입력하는지 우분투에 입력해야하는지를 모른 체 계속 터미널에만 입력해 나갔다.
우분투 프로그램에 입력을 해야 될 터인데 어제 하면서 모르니까 처음에는 내가 어디서 잘못되었는지 처음 시작할때 코드를 잘못 입력해서 그런가 해서 다시도 시작해보았고, 프로그램 자체를 껐다가 다시 켜서 해보기도하였고, 구글에서 문제점을 찾을려고 구글링도 해보았으나, 그때 까지 나는 문제를 찾지 못하였다. 그러나 나는 끊임없이 궁금한것, 또 내가 하지 못하는것에 대해 절망할수 있었겠지만 그러지 않고 긍정적으로 마음을 생각할려고 마음을 바꾸고, 다시 구글링을 해서 결국 스스로 답을 찾았던건 그 것은 터미널에서 입력하는것이 아닌 우분투 프로그램에 코드를 입력해야 됐던 것 그리고 더 확신을 얻기위해 크루에게 상세하게 질문을 하고 그 질문을 통해 내가 찾은 답에 확신을 얻을 수 있었다.
결국 모르면 알때까지 찾아야하는 것 그것이 개발자가 되기 위한 첫걸음인 것을 깨달았고 모른다고 좌절하는 것이아니라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내 스스로에 대한 믿음과 포기하지 않는 끈기만 있다면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겠구나 라는 마음도 얻었고, 자신감도 한층 업 되었다. 포기하지말고 개발자가 되는 그 날까지 화이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