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ker는 여러 선택지에서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UI이다.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리액트 네이티브에서 손쉽게 이를 구현할 수 있다.
Slider는 흔히 볼 수 있는 UI로, 사용자가 좌우로 슬라이드하여 값을 설정할 수 있는 컴포넌트이다. 리액트 네이티브에서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손쉽게 이를 구현할 수 있다.
HashRouter는 BrowserRouter가 있기 이전에 많이 사용되었다. HashRouter를 사용하면, 주소에 #이 붙게 되고 이로인해 SEO에 대응되지 않는다. 또한 HashRouter는 History location을 지원하지 않는다.
페이지를 이동시키면서 state를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앱을 종료 후 다시 실행하였을 때, 데이터가 남아있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때, 브라우저의 localStorage처럼 key-value기반으로 로컬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해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React Native Elements는 React Native의 UI toolkit으로 화면을 구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라이브러리이다.
undefined는 변수에 값이 할당되지 않은 상태이다. null은 변수에 값이 할당된 상태이다.
UX 향상을 위해서 여러가지 고려할 요소가 많다. 예를 들면, input 태그에서 입력 후 사용자들은 자연스럽게 엔터키를 누르게 된다. input태그에서 enter키를 눌렀을 때 이벤트가 발생하게 하기 위해서는 onKeyDown과 onChange를 활용해야 한다.
리액트 네이티브에서 라우팅을 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다. @react-navigation/native @react-navigation/drawer @react-navigation/stack 등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며 때때로 1이나 0부터 시작하여 값이 1씩 증가하는 배열을 사용해야할 필요가 있었다.
useEffect 함수를 사용하면서 내부에서 비동기 호출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때, async 함수를 사용하는 법을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