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자바는 자료형마다 바이트(크기)가 달라, 변수에 담기는 데이터의 크기가 달라짐변수의 이름을 자바의 규칙에 따라 작성하는 것도 매우 중요int는 정수를 나타내는 자료형double은 실수형태를 나타내는 자료형string은 문자열을 가리키며, 데
상수 Constants, final variables 한 번 값이 할당되면 재할당이 불가능하다. 상수는 보통 전체를 대문자로 사용하고, 단어 간의 구분은 _를 사용한다. 에러가 난다. 형변환 Type Casting *byte < short < int < lon
연산자 조건문 반복문
자료구조 배열 Arrays int[] // 뒤에 나올 변수는 int를 모아 놓은 배열이다. int 뒤에는 int값만 넣을 수 있다. 문자열 X 배열의 요소들은 각각 자신만의 순서를 가지고 있다. (인덱스 값은 0부터 시작한다.) 배열 수정하기 값을 먼저 가져오기
객체지향 객체 = 물건, 사물 물건과 사물은 속성, 기능을 가지고 있다. 속성은 정적인 정보이다. 멤버 변수 기능은 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할 혹은 움직임을 가리킨다. 메서드 객체 지향에서 중요한 것은 사물의 공통점을 묶는 과정이다. 그 관계를 구조화하여 코드로
일단 위의 코드는 main() 함수이다. main() 함수는 자바 가상 머신이 프로그램 시작을 위해 호출하는 함수로, 클래스 내부에 만들지만 클래스의 메서드는 아니다.여기에서 메서드란 무엇일까.(나는 자바왕초보이기에, 메서드가 무엇인지 알아봐야한다..)메서드란 자바 프
변수를 초기화하고 드라이버와 연결try- catch문 형식은 다음과 같다.따라서 위의 코드를 해석해보면, 클래스가 없는 경우와 코드 안에 오류가 있을 때를 예외하여 mysql에 연결하라는 의미이다. 또 위의 경우일 때, 에러 코드를 출력하라는 의미이다.연결되었을 때,
자료형 : 변수의 종류, 단위 숫자 (Number) 부울 (Boolean) 문자 (Character) 문자열 (String) 자료형 - 숫자 : 숫자 형태의 자료형 정수, 실수, 2진수, 8진수, 16진수 |종류|예시| |---|:--| |정수|int intNu
항과 연산자 단항 연산자 : 항이 한 개 이항 연산자 : 항이 두 개 삼항 연산자 : 항이 세 개 대입 연산자, 부호 연산자 대입 연산자 (=) : 우측의 데이터를 좌측의 변수에 대입 부호 연산자 (+, -) : 부호를 나타내는 연산자 산술 연산자, 증가/감소
: 조건에 따라 무엇을 실행할지 판단하는 분기 구조: 입력 값에 따라 어떤 case를 실행할지 판단하는 분기 구조위 내용과 관련된 코드입니다.출력 결과 입니다. : 주어진 횟수만큼 반복하여 실행하는 구조: 조건문이 만족하는 동안 반복하여 실행하는 구조while과 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