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 공리와 조건부 확률, 베이즈 정리

정예슬·2023년 11월 24일
0

Mathematics

목록 보기
2/3
post-thumbnail

Probability Axioms (확률 공리)

chance experiment EE(확률 실험)에 대하여, sample space SS(표본공간) 내 사건 A의 발생 확률은 P(A)P(A)로 정의되고, 다음 3개의 공리를 만족해야 한다.

  1. P(A)P(A)는 non-negative number이다. 즉, P(A)0P(A)≥0이다.
  2. SS의 발생 확률은 1이다. P(S)=1P(S)=1
  3. 두 사건 AA, BB상호 배타적(mutually exclusive)이라면, 사건 AA 또는 BB가 발생할 확률P(A or B)P(A \ or \ B)은 두 사건 발생 확률의 합과 같다.
    즉, P(AB)=P(A)+P(B)P(A∪B) = P(A)+P(B)

Conditional Probabilities and Statistical Independence

Conditional Probability(조건부 확률)

사건 BB가 발생한 조건 하에 사건 AA가 발생할 확률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p(AB)=P(AB)P(B)p(A|B)={{P(A ∩ B)}\over{P(B)}}

이와 유사하게, 사건 AA가 발생한 조건 하에 사건 BB가 발생할 확률은 다음과 같다.

p(BA)=P(AB)P(A)p(B|A)={{P(A ∩ B)}\over{P(A)}}

사건 AABB가 동시에 발생할 확률 P(A and B)P(A \ and \ B)은 다음과 같다.

P(AB)=P(BA)P(A)=P(AB)P(B)P(A∩B)=P(B|A)P(A)=P(A|B)P(B)

Statistical Independence

P(AB)=P(A)P(B)P(A∩B)=P(A)P(B)

두 사건 A, B가 위 식을 만족하면, 두 사건은 통계적으로 독립적이라고 할 수 있다.

Total Probability and Bayes’ Theorem

Total Probability (전확률의 법칙)

사건 A1,A2,,AmA_1, A_2, …, A_m가 표본 공간 SS를 구성하는 부분집합들이라고 하자. 이 사건들은 상호 배타적이며, 이 사건들을 모두 더하면 SS가 된다. 그러면, 어떠한 사건 BB의 발생 확률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P(B)=i=1mP(BAi)=i=1mP(BAi)P(Ai)P(B)=\sum^{m}_{i=1}P(B∩A_i)=\sum^{m}_{i=1}P(B|A_i)P(A_i)

증명

모든 사건 AiA_i가 상호 배타적이므로, BAiB∩ A_i또한 상호 배타적이다. 따라서, 확률 공리 #3을 적용하면 우리는 다음과 같이 P(B)P(B)값을 정리할 수 있다.

P(B)=P(BA1)+P(BA2)++P(BAm)P(B)=P(B∩A_1) + P(B∩A_2) + … + P(B∩A_m)

P(BAi)P(B∩A_i)를 조건부 확률로 대체해서 써 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P(BAi)P(B∩A_i)=P(BAi)P(Ai)=P(B|A_i)P(A_i)

P(B)=P(BA1)P(A1)+P(BA2)P(A2)++P(BAm)P(Am)P(B)=P(B|A_1)P(A_1) + P(B|A_2)P(A_2) + … + P(B|A_m)P(A_m)


Bayes’ Theorem (베이즈 정리)

다음 표현식을 베이즈 정리라고 한다.

P(BA)=P(AB)P(B)P(A)P(B|A) = {{P(A|B)P(B)}\over{P(A)}}

(*우리는 앞선 조건부 확률 식에서 P(AB)=P(AB)P(B)P(A∩B)=P(A|B)P(B)임을 알고 있다.)

상호 배타적인 사건 A1,A2,,AmA_1, A_2, …, A_m가 표본 공간 SS를 구성하는 부분집합들이라고 하면, 베이즈 정리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일반화할 수 있다.

P(AiB)=P(BAi)P(Ai)j=1mP(BAJ)P(AJ)P(A_i|B)={P(B|A_i)P(A_i)\over{\sum^{m}_{j=1}P(B|A_J)P(A_J)}} , (1im)(1≤i≤m)

profile
춘식이랑 함께하는 개발일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