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stJS를 사용하다보면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DTO를 사용하게 된다. > DTO(Data Transfer Object) :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방법을 정의하는 객체 이 DTO는 class와 interface 두 가지를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책을 따라 실습을 하던 중 회원정보(이름, 이메일, 비밀번호)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D...
 1차 프로젝트 회고 후 정신 없이 2차 프로젝트가 시작됐고, 또 어느새 끝나버렸다. 내일부터 시작되는 기업협업 전에 얼른 회고글을 작성해보고자 한다. 프로젝트 시작 > 이번 프로젝트는 개천절 때문에 하루 늦게 시작됐다. 하지만 공휴일에도 많은 분들이 출근했기 때문에 나도 늦은 오후에 나가서 팀 회의에 참여했다. 도착했을 땐 이미 많은 부분들이 정...
웹 개발을 하면서 처음으로 팀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프로젝트 전후의 느낀점, 팀 프로젝트 내용과 나의 역할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나는 참고로 백엔드이다.) 프로젝트 시작 전 >  추석 연휴 덕에 일주일이라는 시간을 활용할 수 있었지만, 오히려 모자란 것들을 전부 이해해야 한다는 부담감과 조급함 때문에 멘탈이 아주 많이 흔들렸었고, 그 불안감은 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