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러 핸들링

devAnderson·2021년 12월 30일
0

TIL

목록 보기
12/102

기본적인 에러 핸들링

기본적으로 프로미스 에러를 처리하는 방법은

fetch("https://no-such-server.blabla") // 거부
  .then((response) => response.json())
  .catch((err) => alert(err)); // TypeError: failed to fetch (출력되는 내용은 다를 수 있음)

저렇게 잘못된 주소에서 거부되면 catch를 통해 받는다는 것을 기억하고 있다.

여기서 fetch 역시 프로미스 객체이다.

프로미스 객체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Promise 빌트인 생성자 함수는 암묵적으로 new를 통해 객체를 생성할 때, 인자로 받는 콜백 함수에게 자신의 프로토타입 객체에 존재하고 있던 메서드 즉, Promise 생성자 자체의 안에 들어있는 정적 메소드 resove, reject를 전달해 줄 수 있다.

보이는 내용은 new Promise(()=>{}) 를 통해 만들어낸 기본적인 프로미스 객체의 프로토타입 슬롯을 펼쳐본 것이다.
만약 내부를 채워넣어본다고 가정했을 때

new Promise((resolve, reject) => {
  throw new Error("에러메세지");
}).catch(alert);

내부적으로 에러객체를 리턴하는 상황이다.
재밌는점은, 저렇게 함수 내부에서 비동기 작업인 reject를 호출하지 않았더라도 안에서 throw문을 실행하면 암묵적으로 내부에서 try..catch가 진행되는 것으로 인식한다.
그 후 마이크로테스크큐에있는 catch를 찾아내어 작업을 진행한 것이다.

new Promise((resolve, reject) => {
  throw new Error("에러 발생!");
})
  .catch(function (error) {
    alert("에러가 잘 처리되었습니다. 정상적으로 실행이 이어집니다.");
  })
  .then(() => alert("다음 핸들러가 실행됩니다."));

중간에 에러가 생겼다고 체이닝이 끝나는 것이 아닌, catch를 통해 처리한 후 다시 then을 통해 다음작업을 이어나갈 수 있다.

저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듯, catch는 암묵적으로 thenable한, 프로퍼티 then을 가진 프로미스 객체를 또다시 리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만약 catch 부분에서 다시금 에러를 리턴했을 경우, 중간에 끼여있는 then은 무시되고 가장 가까운 catch로 그 작업 흐름이 이어진다

new Promise((resolve, reject) => {
  throw new Error("에러 발생!");
})
  .catch(function (error) {
    // (*)

    if (error instanceof URIError) {
      // 에러 처리
    } else {
      alert("처리할 수 없는 에러");

      throw error; // 에러 다시 던지기
    }
  })
  .then(function () {
    /* 여기는 실행되지 않습니다. */
  })
  .catch((error) => {
    // (**)
    alert(`알 수 없는 에러가 발생함: ${error}`);
    // 반환값이 없음 => 실행이 계속됨
  });

위 내용에서도 볼 수 있듯, catch에서 에러객체를 잡아냈으나, catch에서 해당 에러객체의 인스턴스, 즉 이 에러객체를 만든 생성자 함수의 프로토타입을 확인해보니, URIError 생성자의 프로토타입이었다. 그러면 에러처리를 해서 then으로 넘어갔겠지만, 그 외에는 else를 통해 alert를 실행하고 다시금 throw error로 이 에러객체를 다시 리턴하고 있다.

자 그럼 그 다음에는 catch가 리턴하는 객체의 타입이 에러객체이므로, then이 실행되지 않고, 그 객체는 연결되어 있던 catch에 전달되어 실행된다.

참고로 주의할점은, 이 암묵적인 내부 try... catch는 오로지 동기적 인 함수호출간에서만 처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예를들어, 프라미스 객체에 전송되는 콜백 함수 내부에서 비동기적으로 에러가 처리가 될 경우, 이것은 catch로 잡아내지지 않는다. 즉

new Promise(function (resolve, reject) {
  setTimeout(() => {
    throw new Error("에러 발생!");
  }, 1000);
}).catch(alert);

해당 내용은 setTimeout으로 에러객체를 던지는 비동기 함수가 실행되고 있다.

try.. catch가 암묵적으로 존재함에 따라 해당 setTimeout 비동기 함수는 호출이 될 것이고, 이것은 그 안에 있는 콜백을 태스크 큐에 넣으면서 이 함수객체를 평가를 완료할것이다. 그리고 1초가 지나면 그제서야 이벤트루프에 전달되면서 콜스텍이 다 비어지길 기다린 이후에 해당 함수가 실행되어 에러를 실행할것이다.

try... catch는 동기적으로 이루어지는 활동만 감지하므로, 해당 비동기 함수의 호출내역은 에러로 감지할 수가 없다.

만약 해당 내용을 에러로 감지하게 만드려면 async await을 통해 해당 비동기 함수의 호출이 완료되는걸 함수 내에서 기다리도록 프리징하게 만들 수밖에 없다.

에러가 처리되지 못할 경우

만약 처리가 되지 못한 에러가 존재하면 어떻게 될까.
즉, 이렇게 비동기적인 체이닝 행동 가운데에 마지막에 까먹고 catch를 안썼을 경우를 말한다. 그렇게 되면 발생하는 과정은 자바크스립트 엔진이 프라미스의 거부를 처리할 캐치가 없음을 확인하고 전역 에러를 생성한다

이것은 window객체에 eventLisner 자료구조에 unhandleedrejection이라는 키워드로 등록이 되며, 해당 함수가 실행되게 된다.

그렇다면 이것을 콜스텍과, 태스크큐, 이벤트 루프의 관점에서는 어떻게 해석이 될까?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일단 비동기 함수가 콜스텍에 들어오는 순간, 이것을 비동기적인 함수임을 인지하고 그것을 태스크 큐에 넣는다. 그리고나서, 뒤에 연결고리가 되어있는 then,catch,finally와 같은 체이닝된 메소드들의 호출을 인식한다.

그러면 얘들이 어디로 들어갈까?

자바스크립트 v8 엔진에 의하면 이 해당 메소드들의 처리는 마이크로태스크 큐라고 하는 또다른 큐에 저장된다고 한다.

그리고 나서 콜스텍이 비워져서 이벤트 루프에 들어간 비동기 함수가 호출이 완료되면, 그 이후에 마이크로테스크 큐에 저장되어 있는 체이닝된 메소드 함수객체들을 이벤트 루프에 넣으면서 들어오는 순으로 하나씩 처리를 하기 시작한다.

즉 다시말해,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이렇게 마이크로테스크 큐에 있는 내용을 확인하여 중간에 에러가 발생을 했는데 큐를 끝가지 돌아도 catch 메소드가 보이지 않는다? 그러면 윈도우 객체에 이벤트 리스너

"unhandledrection" 이라는 키로 함수를 등록하고 그것을 트리거한다.

그럼 만약에 catch를 나중에 등록해주면 어떻게 될까

예를들어

let promise = Promise.reject(new Error("실패!"));
setTimeout(() => promise.catch((err) => alert("에러!")), 1000);

저런 상황일 경우를 분석해보자

Promise 안에 있는 스태틱 함수 "reject"는 곧바로 실행되게 되고, 프로미스 객체를 반환한다
그 후, 비동기적으로 등록된 타이머의 작업을 통해서 내부 메서드인 catch를 등록하게 되고, catch는 내부슬롯인 [[PromiseState]]를 감지하고 있으므로 해당 내용에 따라 reject 처리를 인지하고 alert를 실행하게 된다.

profile
자라나라 프론트엔드 개발새싹!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