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cket delay

Nodal delay = Process delay + Queueing delay + Transmission delay + Propagation delay
1. Processing delay
- 라우터 자체 작업인 데이터 패킷 헤더의 처리, 비트 오류 등의 작업으로 소유되는 시간을 말한다.
- 패킷을 아웃풋 링크로 전송할 때 라우터에서 패킷 헤더를 검사하여 패킷을 어디로 보내야 할지 결정한다.
- 라우터 성능에 따라 결정
2. Queueing delay
- 패킷을 다른 라우터로 전송할 때 아웃풋 링크의 전송 속도보다 패킷의 도착 속도가 빠르면 라우터의 버퍼에 패킷이 저장되어, queueing이 발생한다. 이때의 지연 시간은 Queueing delay라고 한다.
- 다른 delay와 달리 네트워크 트래픽에 따라 결정
3. Transmission delay
- 라우터 버퍼에서 하나의 패킷을 아웃풋 링크로 내보내는 시간을 말한다.
- 패킷의 길이가 L 비트, 아웃풋 링크의 전송 속도가 R bps라고 할 때, transmission delay = L/R이다.
- 아웃풋 링크의 전송 속도에 따라 결정
4. Propagation delay
- 패킷을 라우터에서 다음 라우터까지 전달되는 시간을 말한다.
- 거리를 d, 속도를 s라고 할 때, propagation delay = d/s
- 두 라우터 간의 거리에 따라 결정
Throughput
- Throughput은 송신자와 수신자 간에 bit들이 전송되는 속도를 말한다.
- bottleneck link
- 송신자와 수신자를 잇는 link들 중에 가장 전송 속도가 느린 link를 말한다.
- bottleneck link가 end-end throughput을 결정한다.
Reference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