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3 은 a에 3이라는 값을 넣어주는것이고,
a==3 은 a와 3이 같은것인가, a!=3은 a와 3이 다른것인가 하는것이다. 이와 같은 연산자는 Boolean형으로 출력된다.
✍️작성
console.log(10>5);
console.log(10 == 5);
console.log(10 != 5);
💻출력
true
false
true
==
을 동등연산자라고 표현한다.
조금 다르게 동작할때가 있다. 함께 알아보자.
✍️작성
const a=1;
const b="1";
console.log(a==b);
const c=1;
const d="1";
console.log(c===d);
💻출력
true
false
🚨가급적 ==
동등연산자보다는 type까지 판별하여 구분해주는 ===
일치연산자를 사용해주는것이 좋다.
if
괄호안에 들어가는 조건을 평가하여 true면 실행하고,
false면 실행하지 않는다.
if 뒤의 괄호안의 조건문은 Boolean형으로 변환되어 판단된다.
else
else절은 if문이 false일때 실행된다.
✍️작성
const age= 23;
if(age > 19){
console.log('환영합니다.');
} else {
console.log('안녕히가세요.');
}
const age1= 15;
if(age1 > 19){
console.log('환영합니다.');
} else {
console.log('안녕히가세요.');
}
💻출력
환영합니다.
안녕하가세요.
만약 19살 이용자에게 수능응원문구를 보여주고 싶다면 어떻게 작성할까 ?
✍️작성
const age=19
if(age > 19){
console.log('환영합니다.');
} else if(age===19) {
console.log('수능을 응원합니다 !');
} else {
console.log('안녕히가세요.')
}
💻출력
수능을 응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