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git 에게 맡길 파일들과 아닌 파일을 구분 할 수 있도록 파일들을 생성해준다.

나는 공개 할 파일들의 이름을 cherry.html
, berry.html
로, 공개하지 않을 파일의 이름을 secret.html
로 만들어보았다.
✔️ vscode의 터미널에 아래의 코드를 입력하여 파일들이 git으로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git status
✔️ git으로 관리되고 있는 세가지의 파일들이 확인된다.

✔️ .gitignore 의 이름으로 새로운 파일을 만들어주고, 배제할 파일명을 입력해준다.

✔️ 터미널에 아래의 코드를 입력하여 git에서 관리되고 있는 폴더에 배제할 파일이 배제되었는지 확인한다.
git status

다양한 프레임워크에서 .gitignore
폴더를 포함하고 있다.
앞으로 어떤 프로젝트를 수행할때 .gitignore
폴더를 발견하게 된다면
노출되지 말아야할 파일들을 작성하는 곳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 더 다양한 .gitignore 작성방법을 알고싶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https://git-scm.com/docs/gitign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