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 헬스체크와 컨테이너

JooHeon·2025년 1월 5일
0

헬스체크 방법 3가지
Startup probe : 파드가 기동되는지 확인 / 실패시 팬딩
Liveness probe : 파드에 요청이 가는지 확인 / 실패시 트래픽 차단
Readiness probe : 파드 내부의 컨테이너가 정상 동작하는지 확인 / 실패시 파드 재기동

헬스체크 방식 3가지
명령어 기반 체크 : 컨테이너 별로 명령어를 실행하고 종료 코드로 확인한다
Http 기반 체크 : alb 경우에만 가능하며 kublet으로 http get 요청을 한다
Tcp 기반 체크 : L4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tcp 기반 체크만 가능한데, tcp 소켓이 연결되어있는지(리슨하는지) 확인

웹 브라우저에서 도메인을 입력했는데 장애가 발생한 경우
1. dns가 등록됐는지 확인 (cname -> lb에서 ip로 변환)
2. lb의 타겟 그룹 헬스 체크 확인
3. 서비스, 인그레스 설정을 확인
4. 헬스체크 확인

컨테이너 라이프 사이클 3가지
Always : 파드가 정지하면 항상 파드를 재기동
OnFailure : 예상치 못하게 파드가 정지한 경우 재기동
Never : 파드를 재기동 시키지 않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