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Bean 주입의 동작 순서는 Bean Name - > Bean Type - > Constructor 으로 작동한다.
오늘은 Grpc에 대해서 글을 써보려고한다. Grpc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공간에서 동일한 객체를 가져다 와서 사용하는 것이다.
Mybatis를 이용해서 페이징을 구현할 경우 Pageable 객체를 파라미터로 넘겨주고 xml에서 아래와 같이 사용하면 된다
Spring-legacy로 개발하다가 보면 root-context와 servlet-context 둘중 어디에서 빈을 scan 할지 혼동이 온다.그래서 찾아본 결과는 아래와 같다.servlet-context.xml이름에서 보듯이 서블릿 요청과 관련된 객체를 정의해야한다.
Spring-legacy에서는 web.xml에서 한글 처리 하는 부분을 설정해 주지 않으면 한글이 전부다 깨져서 보인다.아래와 같이 CharacterEncodingFilter의 param value를 UTF-8로 설정해주면 한글이 깨지지 않는다
오늘은 스케쥴링에 대해서 써보려고 한다.개발하다보면 특정 시간에 함수가 호출 되었으면 하는게 있는데 그 부분을 구현해볼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다행이 스프링프레임워크가 지원을 해주고있다.
오늘은 Spring Security를 통한 Http에 여러가지 설정을 해서 보안을 강화시켜 보겠다. 일단 설정한 부분들은 구글에 검색하면 나오는 웹 보안 체크 홈페이지를 통해서 검사했고 미흡한 부분을 Spring Security를 통해서 보완했다.
Spring Security로 Ajax 통신 session timeout을 처리 해보자!
개발을 하다가 컨트롤러에서 yyyy-MM-dd (예: 2019-10-23) 같은 형식의 문자열을 바로 Date 객체로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MapStruct란 클래스간 변환을 편하게 해주는 라이브러리입니다. 이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다른 타입의 필드를 주입시켜보겠습니다.
@PathVariable annotation을 사용하면서 생긴 에러 수정
JPA Auditing을 이용해서 자동으로 컬럼을 생성하고 값을 넣어주는 기능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스프링 웹 개발 중에 매번 데이터를 삽입하고 삭제하는것은 매우 번거러운 일입니다.저는 CommandLineRunner 라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넣어 보겠습니다.